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세계박람회 지원 절실

최근 2014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와 2011년 대구세계육상대회 유치 열기가 높아지면서 국민적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이 두 대회 외에도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와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의 유치 역시 본격적인 경쟁에 돌입한 상태다. 특히 여수에 유치하려는 세계박람회의 경우 올림픽ㆍ월드컵과 더불어 세계 3대 행사로 손꼽히면서 1,000만명 이상의 관광객 유치효과와 함께 10조원 이상의 생산유발 효과를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3~4월경에 국제박람회기구(BIE)의 현지실사를 거쳐 12월에 최종 투표로 개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평창이 두번째 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서듯이 여수도 지난 2010년 세계박람회의 유치에 실패한 후 다시 2012년 세계박람회 유치를 준비해왔다. 물론 ‘재수’를 하면서 실패원인을 분석하고 필수조건인 SOC 확충 등 많은 준비가 이뤄졌지만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박람회 유치는 BIE 98개 회원국들의 투표로 결정이 되는 만큼 무엇보다도 회원국을 상대로 한 득표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중앙정부 차원의 외교적 역량과 정치권의 초당적이고 유기적인 협력 속에서 체계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 특히 정치권에서는 중앙정부와 중앙유치위원회, 민간기업, 지방정부와 지방유치위원회 등 모든 주체들의 노력을 총망라해서 국가적으로 가장 확실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점검하며 기관들의 역할을 조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박람회 유치에 필요한 예산편성에 대해서는 여야 구분 없는 초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둘째,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의원외교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BIE 회원국에 대한 지원을 약속함으로써 효과를 보는 방법도 있겠지만 적극적인 외교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유치의 당위성을 각인시키는 방법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국가의 공식외교 채널이 주도하도록 해야 한다. 정부가 만일 실패할 것을 대비해 미리 책임을 회피하는 방식으로 외교채널을 소극적으로 가동하고 민간 기업에 역할을 떠넘기는 식의 유치활동 방식을 해서는 안된다. 넷째, 재외공관의 유치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독려가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97개 BIE 회원국(우리나라 제외) 가운데 2개국(쿠바ㆍ모나코)을 제외한 95개국과 수교를 맺고 있으며 그중에서 62개국에 공관이 상주하고 있다. 경쟁국인 폴란드 역시 94개국과 수교를 맺고 63개국에 상주공관을 유지하고 있고 모로코도 59개국과 수교를 맺고 48개국에 상주공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유리하다고 결코 장담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또다시 실패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과 함께 정치권의 세심한 점검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