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檢, 농협 서버 삭제명령어 예약실행 정황 포착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를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김영대 부장검사)는 19일 서버운영시스템 삭제명령어가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된 단서를 잡고 범행이 누구에 의해 주도됐는지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삭제명령의 진원지인 한국IBM 직원 노트북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사건 발생일인 12일 이전에 농협의 서버를 공격하도록 프로그램화된 파일이 단계적으로 심어졌고 당일 일제히 실행됐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는 증거를 확보했다. 검찰 관계자는 "지금까지 드러난 프로그램의 흔적만으로도 최소 한달 이상 준비된 계획 범행으로 보인다"며 "실제 프로그램 제작 기간 등을 포함하면 그보다 더 긴 기간 준비된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범행 방법과 수단이 상당히 치밀하고 복잡하게 이뤄져 사건의 윤곽이 드러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현재까지 진행된 수사결과만으로는 범행 주체를 특정하기 어려워 특수 목적을 위한 외부 해킹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검찰은 농협 메인서버에 대한 '최고 접근 권한(Super Root)를 가진 농협IT본부(전산센터) 및 한국IBM 직원 5명 가운데 수상한 행적을 보인 2~3명을 이미 출국금지 조치한 데 이어 사건 개입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