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자체 너도나도 “고래사업”

관련 레저사업에 경쟁적 진출<br>고래수적고 유사계획 쏟아져<br>사업성 불투명·중복투자 우려

고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일선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충분한 사업성 검증도 없이 고래를 테마로 한 관광레저사업에 앞다퉈 뛰어 들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자칫 예산낭비나 중복투자에 대한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14일 울산 등 각 지자체에 따르면 지난달 말부터 국내서는 처음으로 울산에서 열리고 있는 국제 포경위원회(IWC) 총회를 계기로 고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국내 각 자치단체마다 돌고래 쇼장, 해상 관경(觀鯨) 등 고래관련 레저사업 진출을 위한 청사진을 쏟아내고 있다. 그런데 이들 지자체는 ▦현재 고래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관심도가 국제총회로 인한 일시적인 것인지 ▦관경산업에 적합한 고래개체수 및 해상 여건을 갖추었는지 여부 등을 따지지 않은 채 주먹구구식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 남구청은 총 54억원을 들여 지난달말 국내 유일의 ‘고래박물관’을 개관한데 이어 남구 장생포 일대에 돌고래 쇼장과 해양수족관 등을 갖춘 ‘고래 테마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남구청은 고래테마 공원 조성을 통해 남구를 고래 관광과 고래 연구 중심지로 만든다는 방침이다. 남구청의 이 같은 고래산업 육성 계획이 발표되자 최근 울산 동구청도 대왕암공원 조성사업에 남구의 고래 테마 공원과 비슷한 해양레저 시설을 끼워넣겠다는 계획을 수립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현재 이들과 유사한 돌고래 쇼장 등 관련 시설이 서울과 제주 등 2곳에서 운영 중인데다 특히 해양수족관은 동양 최대 규모의 아쿠아리움’이 인근 부산에 설치돼 있어 사업성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높다. 또 울산시와 제주, 포항시 등은 관경(觀鯨)도시 선정을 앞두고 현재 치열한 각축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국내 관경산업의 경우 아직 고래개체수가 외국 관경도시들에 비해 크게 낮은 데다 육지에서 최소 5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만 관측이 가능해 사업성이 충분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시민단체 및 전문가들은 “사업성이 아직 검증되지 않은 사업에 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뛰어 들고 있는 이면에는 선거를 겨냥한 치적 쌓기라는 지적도 있다”며 “고래자원에 쏟는 관심은 긍정적이지만, 자칫 중복투자로 예산과 인력만 낭비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