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당국자 간 접촉설이 또 제기됐다.
현재 꼬여 있는 남북관계를 풀기 위해서는 남북 정상회담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곳곳에서 나오는 와중에 제기된 것이어서 더 관심을 끈다.
더구나 이번에는 지난 1월 중국을 무대로 접촉이 진행됐다는 것으로 정부는 이에 대해 "알지 못한다"는 반응을 보여 접촉설이 사실일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일본 아사히신문이 4일 한국 정부관계자를 인용해 "1월 한국과 북한이 중국에서 정상회담 실현을 목표로 비밀접촉을 했으며 북한의 무력도발 처리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면서 "남북 비밀접촉에는 북한 쪽에서 남북관계를 주로 담당하는 노동당 통일전선부 관계자가 참석했다"고 보도했다.
◇정부 "알지 못한다"…외교가는 가능성에 무게=정부는 이런 보도에 대해 "알지 못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남북 간의 접촉을 모두 정상회담 추진으로 보는 것은 무리"라면서도 "물밑접촉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물밑접촉 여부는 확인하기 힘들지만 설령 물밑접촉이 있었다고 해도 이를 정상회담까지 확대 해석하지는 말아달라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쪽에서는 정상회담에 대해 "어떤 성과를 내겠다는 것이 분명해야 한다"면서 "현재는 천안함ㆍ연평도 사건에 대한 당국 간 대화가 먼저"라고 해석의 차이를 뒀다.
반면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충분히 가능하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크게 세 가지 이유에서다. ▦중국이 남북 간 '화해' 무드 조성에 적극적이라는 점 ▦이명박 대통령이 3ㆍ1절 기념사에서 대북대화에 유연성을 보인 점 ▦미국의 대북 쌀 지원 재개를 검토하고 있는 움직임 등을 볼 때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는 이야기다.
이에 따라 남북 정상회담을 목표로 한 접촉의 통로도 남북 당국 간 '채널'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지난번 '임태희-김양건' 간의 싱가포르 회동이 박철수 조선대풍그룹 총재라는 '비선'의 중재로 이뤄지는 바람에 결국 불협화음이 발생했던 점을 감안, 이번에는 '믿을 만한' 라인이 가동됐을 것이라는 추론이다.
◇엇갈린 대북정책 신호음에 우려도=문제는 대북정책에서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엇갈린 신호음이 계속 들린다는 점이다. 대화재개로 남북관계를 전향적으로 풀어보려는 움직임이 대두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대북 강경원칙론을 견지하려는 태도가 강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이 대통령이 3ㆍ1절 기념사에서 "언제든 열린 마음으로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것은 북한을 다시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려는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이는 미국 고위당국자들의 잇따른 대북유화 발언과 맞물리며 더욱 무게가 실렸다. 3일에는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주한외교단 초청 오찬행사에서 이 대통령의 '메시지'를 재차 확인하며 북한의 반응을 타진하기도 했다.
이런 분위기는 서해를 통해 넘어온 북한주민 송환 관련 통지문 발송으로 완전히 뒤바뀌었다. 2월 초 서해상에서 월선한 북한주민 31명 중 27명만 송환하겠다는 통일부의 발표에 대해 북한은 8시간 만에 "용납할 수 없는 반인륜적 행위"라며 전원송환을 요구했다. 대화에 무게가 실릴 수 있는 흐름을 다시 경색시킬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또 2일 통일부 창설 42주년 기념식에서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지난 3년간 추진해온 '비핵ㆍ개방 3000'이 실패했다는 주장은 북한의 도발을 묵인하며 정책을 추진하는 것과 같다"면서 최근의 흐름과 비교해 미묘한 차이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