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재미 한인과학자가 고순도의 약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획기적 `이성질체(異性質體) 분리기술'을 개발했다.미국 플로리다대 화학과 마틴 교수 연구실의 이상복(35) 박사는 자체 개발한 새로운 나노ㆍ바이오기술을 합성박막에 적용, 제약산업에서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인 `이성질체의 분리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처음 입증하는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세계적 과학저널인 `사이언스' 최근호에 실렸으며, 미국 `사이언티픽 아메리칸'과 `케미컬ㆍ엔지니어링뉴스' 등의 전문지들은 기사를 통해 `획기적 연구성과'로 칭찬했다.
이 박사는 논문이 실릴 당시 플로리다대 실험실 연구원이었으나,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1일자로 메릴랜드대 화학과 조교수에 임용됐다.
이성질체는 사람의 오른손이 거울에 비치면 왼손처럼 보이듯이, 한 화합물질 안에서 화학적ㆍ물리적 성질은 같지만 약으로 함께 사용될 경우 `악성'과 `양성'으로 상반되게 반응함으로써 약의 효능이 크게 떨어질 수 있는 물질이다.
이에 따라 제약계에서는 화합물질을 이용한 약을 만들 때 인체에 유해한 이성질체를 분리해 냄으로써 순도가 높은 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기술은 그동안 크로마토그래피법과 함께 이성질체 분리에 사용돼 온 분리막 이용기술에 나노ㆍ바이오기술을 적용, 화합물질의 2가지 이성질체 형태를 구별할 수 있는 `실리카 나노튜브박막'에 기초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연구진은 우선 핀란드 연구진과 함께 특정 이성질체만 인식하는 항체를 개발했으며 이를 나노튜브 안쪽에 붙인 뒤 폭이 35㎚(1㎚는 10억분의 1m)에 불과한 박막 구멍에 집어 넣었다.
이 결과 혼합물 속의 특정 약분자는 자신을 인식하는 나노튜브 내부의 항체와 결합과 이탈을 반복하며, 마치 `사람이 줄을 서서 물통을 나르는 것처럼' 나노튜브를 따라 이동했으며, 이동 속도는 자신의 반대 거울상 물질에 비해 5배나 빨랐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문병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