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시살] 5월 연휴 앞두고 관광안전 전면 재점검하라

296명이 사망·실종된 진도 앞바다 '세월호' 참사는 대한민국 안전관리 시스템의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사고 발생시 승객대피를 최우선으로 해야 할 승무원 지침은 유명무실했고 승객들을 선실에 머물러 있도록 한 조치도 결과적으로 인명피해를 키우는 결과를 초래했다. 대형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정부는 대응 매뉴얼을 만든다고 소란이지만 제대로 역할을 하는지 의심스럽다.


학생 단체여행에서 벌어지는 과거의 사고들은 대부분 예고된 인재(人災)였다. 불과 두달 전인 2월18일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에서 대학 신입생 환영회가 열리던 중 체육관 건물이 무너져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한 것은 체육관 부실공사가 직접적 원인이었다. 지난해 7월18일 충남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 일대의 사설 해병캠프에서 파도에 휩쓸려 학생 5명이 숨진 것도 안전조치 미흡으로 일어난 참사다. 2011년 7월 강원도 춘천으로 봉사활동을 떠났던 대학생들이 산사태로 사망한 것도 사태위험 지역에 대한 관리부재와 안전조치 미흡이 원인이었다.

관련기사



더 이상 사고발생-대책 매뉴얼 마련→안전조치 소홀→사고발생의 악순환을 방치할 수는 없다. 그러잖아도 정부가 국내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처음 지정한 관광주간(5월1~11일)이 코앞이다. 관광주간에는 일본·중국의 황금연휴까지 겹쳐 17만 중국·일본인 관광객이 한국을 찾을 것이라고 한다. 일부 초중고교에서도 단기방학에 관광 겸 체험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해 전국 관광지·업소에 안전관리를 강화하도록 지자체와 관광협회중앙회 등에 요청했다지만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 여행객들이 이용하는 선박·항공기·기차·버스 등에 대해 대대적인 안전점검에 나서는 등 국내외 관광객의 불안감을 씻어줄 필요가 있다. 안전 불감증에 의한 후진국형 인재를 더 이상 되풀이해서는 곤란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