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인재를 잡아라] 중국 인재유치 정책

내국인 대우 등 조건 외국인력 유치 심혈<br>연구비 3억 지원등 내걸고 해외 자국과학자 유치나서<br>국유社 경영진 해외채용도…최근에는 M&A 선호 추세

후진타오 국가주석을 비롯 중국 국가 지도자들은 90년대이후 국가 주도로 국내외 우수 이공계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강력한 유인정책을 펼치고 있다.

‘과교흥국(科敎興國)’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말 11차 5개년 사회경제계획을 확정하면서 과학과 교육이 나라를 흥하게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내건 슬로건이다. . 중국은 지난달 발표된 ‘중장기(2006~2015년) 과학기술발전전략’에서 과교흥국에 더해 ‘인재강국’ 전략을 덧붙였다. ‘100X100’. 지난 93년 후진타오 주석을 배출한 중국 이공계 대학의 상징인 청화대가 내건 슬로건이다. 연봉으로 인민폐 100만원을 받는 우수 교수 100명을 유치하겠다는 것. 우리돈으로 1억원을 주고 해외 우수 유학생들을 대학으로 끌어오려는 정책이다. 과교흥국이나, 100X100은 중국이 얼마나 우수 인재유치와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중국 정부는 90년대부터 국내외 우수 이공계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강력한 유인정책을 펼쳐왔다. 정부차원에서는 귀국 후 3년 간 200만위안(약 3억원)의 연구비 등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매년 100여 명의 중국인 우수과학자를 유치하는 ‘백인계획’도 시행했다. 또 주택과 승용차를 제공하고, 재산의 해외반출 허가, 지적재산권 보호, 자유로운 출ㆍ입국 허용 등 중국 사회에서는 쉽게 얻을 수 없는 파격적인 특혜를 베풀었다. 특히 우수인재라면 외국인이라도 내국인 자격을 주는 등 적극적인 해외두뇌 유치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이문형 산업연구원 박사는 “중국의 대학과 연구소에는 이 같은 방식으로 우수 이공계 인재들을 유치했다“며 “이들이 원한다면 10만~20만위안의 창업지원금을 대줘 창업을 하도록 도워줬다”고 말했다. 이렇게 해서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가 중국의 실리콘밸리라는 중관촌이다. 북경에 있는 중관촌은 청화대와 베이징대 등 68개 대학과 219개 연구기관이 밀집한 지역으로 총 4,300여 벤처기업들이 첨단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곳이다. 지난해에만 3,000개 기업이 새로 입주할 정도로 창업기업수가 급증추세다. 중국은 한발 더 나아가 인력풀을 외국인으로 확대하고 있다. 2003년 3월 후 후진타오 주석 체제 출범 이후 국유기업 경영진의 해외 공개채용 제도 도입이나 그린카드제를 통해 외국의 우수인력에게 대거 시민권을 주기 시작한 것이 단적인 예다. 그린카드제란 국내외 우수인력을 끌어들이기 위해 대졸학력 이상이나 특수기능을 가진 국내거주 외국인들에게 발급하는 일종의 ‘인재 거주 허가증’이다. 이 거주증을 취득한 사람은 국적에 관계없이 발급지역 시민과 동등한 권리가 주어진다. 최근 중국 기업들은 인력과 기술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묘책으로 M&A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은종학 대외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사람에 체화돼 있는 기술을 습득하는 데 M&A만큼 좋은 수단이 없기 때문”이라며 “인재육성을 역설한 강택민 전 주석을 계승한 후진타오 주석의 의지가 매우 단호한 만큼 중국 정부와 기업의 인재사냥은 시간이 갈수록 더욱 세차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더 이상 ‘인해전술’식 값싼 노동력에 의존한 성장정책을 고수하지 않고 있다. 인재의 품질을 높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미국과 경합할 수 있는 세계 최강의 경제대국으로 변신하겠다는 청사진을 과감하게 현실화시키고 있다. /특별취재팀 정상범차장(팀장)·이규진·김현수·김홍길·김상용기자 ssang@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