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WHO, SI 경보 5단계로 격상] 기업들, 상황본부 설치··· 멕시코 출장 금지···

LG·삼성전자등 대응수위 높여

돼지인플루엔자(SI)가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국내 기업들도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LG전자는 30일 여의도 본사 14층에 SI위기대응상황실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이 상황실은 총 7명이 근무하면서 국내 사업장 및 84개 해외법인, 31개 해외지사 등 165개국의 현지 동향을 면밀히 점검할 예정이다. LG전자는 또 지난 28일 멕시코 출장자제 지침을 출장금지로 격상했고 29일에는 미주 지역 출장 자체를 가급적 자제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또 멕시코에 체류하고 있는 20여명의 출장 인력에 대해서도 조기 귀국하라는 방침을 전달했다. LG전자는 멕시코 4개 법인에 SI백신인 타미플루 1,000명분을 긴급 공수하기로 했으며 5,000명분의 마스크도 전달할 예정이다. 이 회사 소속 멕시코 주재 임직원은 총 3,500명으로 이 가운데 한국인은 50여명이다. 삼성 또한 비상 대응체제를 가동 중이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SI 관련해 비상 상황으로 보고 티후아나 지역에서 생산법인을 운영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삼성SDI 소속 30여명의 주재원과 4,600여명의 현지 직원에 대해 면밀히 체크하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SI대책본부를 본사에 설치해 전사적인 지침 및 대응 시나리오 마련에 나섰다. 멕시코 현지에서는 북미총괄 최창수 부사장을 팀장으로 대책팀을 가동하고 있다. 삼성전자 또한 멕시코 출장금지로 격상하고 북미 지역에 대해서는 출장자제 조치를 취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멕시코시티에 5개 법인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현지 인력(44명)에 대해 매일 건강검진을 하고 있다. 사무직 인력은 재택근무로 전환했다. 이 회사는 임직원 가족들에 대해 즉각 귀국조치를 내리는 한편 임직원 철수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멕시코시티와 푸에블라주ㆍ탐피코 등 멕시코에서 총 3개 사무소 및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포스코는 최근 잔업을 금지했다. 조업 시간 자체를 단축하기 위해서다. 현지에서 근무하는 국내외 인력 전원에게 마스크를 지급했고 위생교육도 강화하고 있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SI 확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가족들은 철수시킬 계획"이라며 "더 심각해질 경우 20여명의 현지 근무 임직원을 전원 철수시킬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KOTRA는 "멕시코 내 주요 한국 공장이 조업을 중단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면서도 "주요 한국 기업들이 전직원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한편 회의를 줄이고 재택근무를 확대하는 등 즉각 대응에 나선 상태"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