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국 3분기 성장률 5년만에 최저] "바닥쳤다""내우외환" 분분 … 부양책 강도가 '연 7.5%' 관건

기업투자 감소 주원인 미지근 정책기조도 한몫

산업생산·주택거래 회복

4분기 긍정 전망 있지만 정부 미시 대책 틀 유지

시장 원하는 변화 힘들듯



중국의 3·4분기 경제성장률이 발표되자 전문가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7.3%로 시장의 예상을 소폭 웃돌았다는 점이 긍정적이며 바닥을 치고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반면 내수가 활력을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글로벌 수요회복 역시 더뎌 중국 경제가 내우외환(內憂外患)에 빠져 있다는 비관론도 여전하다.

시장의 관심은 급속히 4·4분기로 옮겨가고 있다. 만약 4·4분기 성장률이 7.5%를 넘지 못하면 시진핑 정부는 지난 1998년 이후 처음 7.5% 이하의 성적표를 받게 된다. 전문가들은 4·4분기 성장률이 중국 정부의 정책기조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제한적인 경기부양책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4·4분기 성장률도 경기둔화 우려를 해소하지는 못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눈에 띄는 기업투자 감소=3·4분기 중국 경제성장률 둔화의 가장 큰 원인은 기업들의 투자 감소다. 국내총생산(GDP)을 구성하는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부진했지만, 특히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16.1%로 상반기에 비해 1.2%나 낮아졌다. 그만큼 기업들이 투자를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시중에 풀린 자금은 여전히 부동산 시장으로 쏠리고 있다. 단기 경기부양을 위해 중국 정부가 각종 부동산 규제를 풀면서 3·4분기 부동산 개발기업으로 유입된 자금은 8조9,869억위안에 달했다.

교통은행은 △생산자물가지수(PPI) 31개월 연속 감소 △제조업 디플레이션 우려 가중 △지난해 3·4분기 GDP 성장률 7.8%에 따른 역기저 효과 등을 들어 올 3·4분기 경기하강 압력이 컸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의 정책기조도 성장률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 관칭요 민생증권연구부 부원장은 "3·4분기 들어 중국 정부가 각종 개혁조치를 본격적으로 추진, 일방적인 성장보다는 안정과 시스템 개혁에 방점을 두면서 경제성장률 둔화를 면하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엇갈리는 4·4분기 전망=중국의 올 성장률 목표 7.5% 달성의 관건은 4·4분기 성장률이다. 9월 수출과 신규대출이 예상보다 증가세를 보이는데다 산업생산도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더딘 글로벌 수요회복은 중국 경제의 큰 난제다. 롄핑 교통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기하강 압박이 크지만 안정적인 소비와 수출 상황의 호전이 예상돼 4·4분기 전망은 밝은 편"이라며 "하지만 유로존(유로화 사용 18개국) 등의 리스크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에볼라 공포 등의 악재들이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이 정부의 규제해소에 서서히 반응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중국 부동산 정보제공 기관인 중국지수연구원이 12~18일 조사한 전국 20개 주요 도시의 주택거래 계약면적이 전주에 비해 45% 증가했다. 래리 후 맥쿼리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 조치 중 부동산 규제 해소가 시장에 효과를 발휘하며 4·4분기 주택수요가 예상보다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에 반해 정부가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을 내놓지 않을 경우 4·4분기 성장률이 7% 초반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딩슈앙 씨티그룹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가 금리인하 등 시장이 원하는 경기부양책을 취하지 않는다면 4·4분기 성장률은 7~7.1%로 3·4분기보다 낮을 것"이라며 "내수부진의 충격을 외부수요가 완전히 흡수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 미시대책에 주력할 듯=리커창 총리가 최근 여러 차례 중국 경제의 경착륙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한 만큼 4·4분기에 중국 정부의 목표성장률 달성을 위한 조치들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러한 조치도 기존의 정책기조인 '신중한 통화정책'의 틀에서는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미 2·4분기와 3·4분기처럼 은행을 통한 유동성 공급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금리혜택과 구입제한 등을 풀었던 부동산대책도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국가통계국이 '거시정책의 연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미시적 조정을 통해 경제의 안정적인 발전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힌 것도 이러한 맥락으로 읽힌다.

하지만 시장이 기대하는 통화정책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미시적 정책 조정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판단하는데다 개혁에 따른 일정 부분의 고통은 감내하겠다고 이미 선언했기 때문이다. 줄리언 에번스 프리처드 캐피털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된 것은 중국 정부가 특정 부문에 과도하게 쏠린 투자를 재조정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중국 정책당국자들이 고용과 경제 재조정을 성장률보다 우선시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부양책을 내놓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