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이명박정부 100일 플랜] 새정부 5년 핵심과제 청사진

대운하·새만금사업등은 빠져 "총선이후 본격 추진"

이명박 정부 100일 플랜은 취임 후 3개월 동안의 국정운영 모습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새 정부 5년을 축약적으로 전망해볼 수 있는 청사진이다. 새 정부의 효율적인 업무 추진을 위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각 분과별로 계획을 마련해 이 대통령과 협의해 최종 과제를 종합ㆍ선정했다. 정부가 100일 플랜을 수립해놓고도 비공개로 한 것은 정책 추진과정에서 예상 외의 역풍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베일에 싸여 있는 새 정부의 100일 동안의 항해 좌표를 국민들은 100일 플랜을 통해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 이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인수위원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국무위원 후보자들을 모두 불러모은 뒤 합동 워크숍을 열어 ‘100일 플랜’을 놓고 국정철학을 공유하며 향후 계획을 토론했다. 대통령이 3개월, 6개월 단위로 국무위원의 업무성적을 평가하겠다고 한 토대가 바로 ‘100일 플랜’이기도 하다. 100일 플랜에는 국정 주요 분야에서 3개월 동안 해야 할 일들이 적시돼 있기도 있지만 이들은 이명박 정부 5년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과제들로 100일 만에 완성될 수 있는 사안은 아니기 때문이다. 4대 부문 29개 과제에서 이 대통령이 주요 공약사업으로 제시한 대운하 건설, 새만금 프로젝트, 공기업 민영화 등 공공개혁 등이 빠진 점은 이채롭다. 인수위에 참여했던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대운하나 공기업 민영화는 총선 후 그 계획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 정해져 100일 플랜에는 빠진 것 같다”면서 “하지만 두 사업의 기본방향이나 계획은 수립돼 있다”고 말했다. 워낙 방대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사업이어서 일단 ‘100일 플랜’에서는 빠졌다는 얘기다. 실제 본지는 인수위 활동기간 새 정부에 참여한 인사들이 공기업 민영화 등 공공기관 개혁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목격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