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디지털 가전산업 집중 육성

4,500억원 투입 2010년엔 세계시장 2위로디지털 가전과 포스트(Post) PC 산업이 21세기 전자산업의 성장견인사업으로 집중 육성된다. 산업자원부는 7일 무역클럽에서 신국환 산자부 장관 주재로 전자산업진흥회 회장을 맡고 있는 구자홍 LG전자 부회장, 최지성 삼성전자 부사장, 장기형 대우전자 사장 등 업계 및 경제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디지털 전자산업 발전전략회의'를 열고 이런 방침을 확정했다. 산자부는 이날 회의에서 오는 2010년까지 디지털 가전산업을 250억달러의 수출에 시장점유율 20%로 세계 2위권으로 키우기로 하고 현재 추진 중인 디지털 데이터 방송기술 등 10개 과제에 총 4,5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또 '디지털 가전 표준화 통합 포럼'을 구성하고 중국과 디지털 지상파 TV방송 방식, 대화형 데이터 방송기술, 디지털 라디오 방송기술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국내에서 개최되는 '한국전자전'을 '한국디지털전자대전'으로 개편하기로 했다. 디지털 가전제품에 대한 내수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프로젝션 및 PDP TV에 대한 특소세 폐지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하는 한편 수출계약 전액에 대해 선적 전 수출신용보증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무선 네트워크 설계인력 양성센터를 2005년까지 5개로 확대하는 동시에 전자산업진흥회 산하에 셋톱박스ㆍMP3플레이어ㆍ홈시어터 등에 관한 협의회를 구성해 업체간 정보교류와 전략적 제휴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한편 포스트PC의 경우 지난해 수출이 4,000만달러에 불과했지만 연평균 95%의 성장을 통해 2005년 35억달러, 2010년에는 165억달러로 끌어올려 15%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해 세계 3위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급 SOC(System on Chip)를 포함한 디지털 가전형 포스트PC 플랫폼 개발에 2004년까지 492억원을 투입하고 모바일 컴퓨팅 및 통신기술, 유ㆍ무선 네트워크 융합기술 등 매년 1개 이상의 기술개발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중앙연산처리장치(CPU),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2차 전지, 블루투스, 초소형 동영상 카메라 등 핵심부품을 수요기업 및 부품ㆍ장비ㆍ소재업체가 함께 개발하는 사업도 진행할 방침이다. 산ㆍ학ㆍ연 네트워크인 '포스트PC산업포럼'을 7월 중 구성하고 업계 표준화 및 부품 공유화와 전자제품생산전문기업(EMS) 도입, 공동 마케팅 등도 추진된다. 이병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