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 의총에서는 "이러다간 공멸할 수도…"

"민생경제 회복 온힘을"<br>"미봉책 더이상 안돼" 위기의식 팽배<br>국민과 소통강화 등 대책 요구 봇물

강재섭(앞줄 오른쪽) 한나라당의 대표와 홍준표(〃 가운데) 원내대표, 임태희(〃 왼쪽) 정책위의장 등 당 지도부와 소속의원들이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 동료의원들이 제기한 민심수습 방안을 듣고 있다. /오대근기자

한나라 의총에서는 "이러다간 공멸할 수도…" "민생경제 회복 온힘을""미봉책 더이상 안돼" 위기의식 팽배쇠고기 재협상…관보게재도 연기를 이현호 기자 hhlee@sed.co.kr 강재섭(앞줄 오른쪽) 한나라당의 대표와 홍준표(〃 가운데) 원내대표, 임태희(〃 왼쪽) 정책위의장 등 당 지도부와 소속의원들이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 동료의원들이 제기한 민심수습 방안을 듣고 있다. /오대근기자 한나라당이 2일 쇠고기 파동 등으로 야기된 국정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한승수 총리를 비롯한 대폭적인 장관 교체와 류우익 대통령실장을 포함한 청와대 수석비서관을 전면 교체하는 등 총체적인 국정쇄신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쇠고기 파동으로 비롯된 촛불시위가 국민적 '저항운동'으로 확산되는 상황에서 땜질식의 미봉책으로는 더 이상 성난 민심을 수습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 대통령이 직접 '결단'을 내려 전면적인 국정쇄신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총리 교체 등 전면적 국정쇄신"=이날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제기된 민심수습책은 인적 및 제도쇄신에서부터 국민과의 소통 강화, 쇠고기 재협상 수용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특히 전면적 국정쇄신과 관련, 총리를 비롯한 대폭 개각과 대통령실장을 포함한 청와대 시스템의 재구축 요구가 가장 많았다. 한 소장파 의원은 "삼성이 어떻게 강도 높은 쇄신을 하고 있는지 참고할 필요가 있다"면서 "인적쇄신은 몇몇 장관 경질로는 부족하고 총리를 포함한 대폭 개각이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류 측의 한 핵심 의원도 "내각 수장으로서 총리와 대통령 비서실장이 제 역할을 못했기 때문에 사의를 표명해야 한다"면서 "내각 총사의를 표명한 뒤 대통령이 그 안에서 문책성 인사를 하는 형식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쇠고기 재협상…관보 게재 연기"=한나라당 대다수 의원들은 기존 당의 입장과 달리 쇠고기 재협상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특히 쇠고기 수입재개와 관련한 고시의 관보게재를 연기해야 한다는 의견에도 상당수 의원들이 동감했다. 친이 측의 한 주류의원은 "국제신인도보다 중요한 것은 현재 망가져버린 국내 신인도를 회복하는 것"이라며 "촛불시위가 결국 쇠고기 재협상에서 비롯된 만큼 이를 적극 수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경필 의원도 "쇠고기 장관 고시 발표가 빨랐다"면서 "쇠고기 고시를 관보에 게재하는 것을 늦춰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태희 정책위의장은 관보 게재와 관련한 당 소속 의원들의 연기 주장이 잇따르자 '장관 관보 게재를 연기하는 게 좋겠다'는 의사를 농림수산식품부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생경제 회복 위해 전력 다해야"=무엇보다 의원들 대다수가 쇠고기 재협상과 전면적인 인적ㆍ제도쇄신이 이뤄진 뒤에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정책위의장을 지낸 이한구 의원은 "정책 최우선 순위는 물가안정에 둬야 하고 그 토대 위에서 서민ㆍ중산층에 부담을 줄여주고 일자리를 늘리는 정책에 역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공성진 의원은 "재협상 요구 수용과 인적쇄신이 이뤄진 다음에 민생경제 회복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모두 발언을 통해 "고유가 대책 등 민생법안도 시급히 만들어야 한다"면서 "6월 국회가 개원하면 쇠고기 문제부터 고유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까지 조속히 논의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한나라당은 민생경제 회복 대책과 관련, 3일 강재섭 대표와 한승수 총리가 참석하는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당이 마련한 방안을 전달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