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막오른 통신시장 요금경쟁] 보조금 경쟁은 막 내릴 듯

"소비자에도 실질 도움 안돼"<BR>SKT, 내달 3G 보조금 인하… KTF·LGT도 "대세 따를 것"

[막오른 통신시장 요금경쟁] 보조금 경쟁은 막 내릴 듯 "소비자에도 실질 도움 안돼"SKT, 내달 3G 보조금 인하… KTF·LGT도 "대세 따를 것" 임지훈 기자 jhlim@sed.co.kr 관련기사 • 보조금 경쟁은 막 내릴 듯 • 일본도 요금전쟁 한창 • 30% 할인에서 완전 무료까지 이동통신 3사가 요금인하와 함께 고객 서비스 강화를 선언하고 나서면서 단말기 보조금 경쟁에는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특히 SK텔레콤이 3세대(2G)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금을 낮춰 2G 수준과 동일하게 가져가겠다고 발표하면서 제기됐던 ‘소모적 마케팅’ 논란이 잠재워질 지 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SKT는 11월 1일부터 현재 7만~35만원의 3G 단말기에 대한 보조금 지급 규모를 4만~26만원으로 낮춰 적용하기로 했다. 또 지금까지는 5년 동안 SKT에 가입하면 최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8년이 지나야 최고 금액의 혜택을 받게 된다. SKT가 이러한 움직임을 보이자 KTF와 LGT도 동참할 태세다. KTF는 이미 SKT와 같은 수준으로 보조금 규모를 하향 조정하겠다고 발표했으며 LGT도 대세에 따른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이통업계가 보조금을 잇따라 축소하고 있는 것은 이것이 소비자 뿐만 아니라 기업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 때문이다. 지난 해 3월 휴대폰 보조금 지급이 일부 합법화된 이후 이통3사는 가입자 유치를 위해 1조원이 훨씬 넘는 자금을 쏟아 부었지만 가입자 확보에는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한 업체가 보조금을 늘릴 경우 방어차원에서 다른 사업자도 덩달아 보조금 규모를 키우기 때문이다. ‘밑 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표현이 시장에 떠돈 것도 이 때문이다. 가입자의 입장에서도 보조금은 실질적인 도움이 안된다. 당장 휴대폰을 살 때는 부담이 적은 탓에 이익일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이통사의 요금인하 여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이용자들이 비싼 요금을 물어야 한다. 업계의 요금인하가 보조금경쟁에 제동을 걸지는 아직 속단할 수 없다. 소비자들은 당장 휴대폰을 비싸게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가 “보조금 규제가 일몰되는 2008년 3월 이후의 이동통신 시장 상황은 예측조차 하기 힘들다”고 말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입력시간 : 2007/10/17 17:3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