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화이트해커 키운다

정부 2017년까지 5,000명

정부가 앞으로 5년 동안 매년 1,000명씩 총 5,000명의 화이트해커를 양성한다. 무료교육 후 경연을 통해 최고 인재로 선정되면 창업도 지원해주고 군 미필자는 군복무와 연계해 사이버사령부에서 군생활을 할 수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급증하는 사이버테러 등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2017년까지 정부에서 1,260명, 민간에서 3,740명의 화이트해커를 양성한다고 11일 밝혔다. 화이트해커는 사이버상에서 블랙해커(크래커)들이 보안 취약점을 악용해 공격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최정예 정보보호 실무자 양성과정(120명)'과 '차세대 보안리더 양성(120명)' 과정을 개설하고 이달 말까지 교육생을 선발한다.

'최정예 정보보호 실무자 양성'은 기업의 정보보호 분야 재직자를 대상으로 5개월 동안 시스템 해킹ㆍ대응, 네트워크 해킹ㆍ대응, 웹 해킹ㆍ대응 총 3개 과정을 개설해 전문교육을 실시한다.


'차세대 보안리더 양성 과정'은 수학ㆍ과학 경시대회 및 해킹방어대회 입상자 등 우수한 고등학생과 대학생 및 구직자를 대상으로 선발한 후 6개월간 모의 사이버전, 디지털수사사례연구 등 전공과정 및 실습ㆍ실무 과정의 교육훈련을 실시하게 된다. 또 교육 후 두 달 동안 서바이벌 방식의 콘테스트를 통해 최우수 정보보호 리더 10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리더에 대해서는 창업이나 취업도 지원해준다. 민간에서는 대학과 연계한 고용계약형 석사과정, 정보보호전문가 과정 등을 통해 화이트해커를 키우게 된다.

관련기사



오승곤 미래부 정보보호정책과장은 "화이트해커 교육이 수료생에 대한 창업과 취업, 군 입대 등으로 연결되도록 했다"며 "잠재력 있는 우수 인력이 정보보호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 인력관리에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우승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