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김관진 "IS격퇴, 군사지원은 아직 윤곽잡히지 않아"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16일(현지시간) 미국의 ‘이슬람국가’(IS) 격퇴전략과 관련해 “군사적 차원의 지원에 대해서는 정확한 윤곽이 나오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한국의 군사적 지원 가능성에 촉각이 곤두세워지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공식으로 군사적 지원요청을 받지 않았고 인도적 지원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특히 김 실장의 이 같은 발언은 존 케리 국무장관이 IS격퇴를 위해 국제 군사연합전선을 꾸리고자 해외 순방 중인 가운데 장관 대리인 윌리엄 번즈 국무부 부장관과 면담한 직후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자리에서 미국 측이 직접적으로 한국이 군사지원을 해달라고 요청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IS 격퇴를 위한 국제적 지원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한국이 적극 협력해주길 당부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우리 측은 미국의 동맹으로서 필요한 협력을 제공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확인하면서 현 단계에서는 인도적 지원을 계속하겠다는 뜻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은 면담직후 기자들에게 “원칙적으로 인도적 지원 범위 내에서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앞으로 상황변화에 따라 미국이 군사적 지원을 요청할 경우 한국이 이에 응할 가능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관련기사



특히 IS 격퇴가 국제적 명분을 갖춘 사안이어서 ‘미들파워’로 부상한 한국이 일정한 군사지원 역할을 감당할 필요가 있는데다 해외 군사경험을 쌓는다는 측면에서도 지원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현 시점에서 한국이 인도적 지원을 넘어서는 군사적 지원에 나서는 것은 어렵지 않겠느냐는 회의적 시각이 우세하다. 무엇보다도 미국이 주도하는 IS전략의 핵심이 공습(airstrikes)이어서 우리 군이 현실적으로 지원해줄 만한 수단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다만 미국이 상황에 따라 지상군을 파견하는 쪽으로 입장을 변경한다면 한국의 군사적 지원 필요성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대두되고 있다. 직접 전투병을 파견하지 않더라도 수송지원·의료·공병 등 후방지원 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것이다. 걸프전의 경우 의료지원단과 공군수송단, 아프가니스탄전의 경우 해ㆍ공군수송지원단, 건설공병지원단, 국군의료지원단 등 비전투병력이 파견됐다. 이라크전에는 공병·의료부대와 함께 치안임무를 띤 전투병 3,000명이 파병된 바 있다.

미국의 지상군 파견과 한국에 대한 군사적 지원 요청 여부는 앞으로 미국이 IS 격퇴를 위한 국제연합군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가닥이 잡힐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마틴 뎀프시 합참의장은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국제연합군을 통한 대응이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입증된다면 대통령에게 가서 지상군 투입이 포함될 수도 있는 제안을 하겠다”고 발언해 파장이 일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