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시외전화 171만 가입/데이콤,한통에 뒤져

◎“한통서 조사방해” 데이콤 불만 제기/이달부터 공개영업/고객확보 치열할듯지난 1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조사 결과 발표로 한국통신과 데이콤간의 말썽많던 시외전화 사전선택제 싸움이 일단 막을 내렸다. 결과는 2천만이 넘는 가입자 중 1백70만7천1백55명(약 8.5%)이 데이콤 가입자로 결정돼 데이콤의 참패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사는 지난 1일부터 영업을 통해 공개적으로 고객을 유치할 수 있어 본격적인 싸움은 이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오히려 제 3의 기관에 조사를 의뢰했던 1차전보다 더욱 치열한 경쟁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데이콤은 한국통신에 비해 구간별로 4.8∼5%씩 저렴한 요금을 집중 부각, 시장 점유율을 25%까지 높이겠다고 벼르고 있다. 데이콤은 이번 조사의 방법과 과정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전선택제 실시와 관련한 설문조사 범위부터 불리하게 진행됐다는 것이다. 데이콤은 월평균 통화의 50% 이상을 데이콤 시외전화를 사용한 고객으로 조사대상이 결정됐으나 개별 고객의 전체 통화량은 한국통신만 알 수 있는 실정이어서 조사 범위가 축소됐다고 보고 있다. 데이콤은 또 우편 조사과정에서 한국통신이 데이콤 가입을 방해했다는 구체적인 증거도 갖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법정싸움으로 비화될 가능성마저 있다. 데이콤은 조사대상이 1천명이 되지 않는 전남 완도의 경우 약 80%가 데이콤 가입에 반대한다고 응답했던 점을 한국통신이 직·간접적으로 간섭한 명백한 증거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통신이 가입자들에게 데이콤 가입에 반대한다는 편지를 보낼 것을 강요하지 않고는 절대로 80%의 응답율이 나올 수 없다는 것이다. 이같은 주장은 전체 평균 응답율이 30%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설득력이 있다.한통은 지난달 초 데이콤에 가입하면 고장 수리가 어렵다고 위협했다는 이유로 통신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을 받기도 했다. 특히 데이콤은 이번 기회에 한국통신 시내전화사업을 시외전화사업과 완전 분리시킬 것을 정통부에 강력히 요구할 계획이어서 새로운 불씨가 될 전망이다. 김중서 데이콤 시외전화 사업본부장은 『한국통신의 시내전화사업이 시외전화와 분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정경쟁은 사실상 기대할 수 없다』며 『시내전화 분리를 강력히 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외전화 사전선택제를 둘러싼 싸움은 한국통신의 조직개편 요구로까지 번지는 복잡한 양상을 전개될 가능성도 높게 됐다.<백재현 기자>

관련기사



백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