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과부, KAIST 총장 선임 개입' 파문

'서남표 총장에 반대표' 요청說… "절차상 만났을 뿐" 해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선출 문제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과학기술부가 선임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30일 교과부 관료들이 KAIST 이사들을 만나 서남표 현 총장에게 반대표를 던질 것을 요청했다는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해명자료를 내고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의사를 이사회에 전달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교과부는 "KAIST 주무부처로서 총장이 공정하게 선임되도록 이사장과 이사들을 만나 절차상 문제에 대한 법적 검토 결과를 설명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KAIST 총장 선출은 교수협의회와 총장후보발굴위원회가 후보를 총장후보선임위원회에 추천하고 후보선임위에서 후보를 3명 이하로 압축해 이사회에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사회는 이 중 한 사람을 총장으로 뽑아 교과부 장관의 승인을 받는다. 그러나 총장후보선임위는 5명의 후보 중 아무도 후보자로 추천하지 못하고 총장 선출을 이사회에 넘겼다. 연임을 희망하는 서 총장을 추천할지를 놓고 위원 간 의견이 엇갈렸기 때문이다. 현재 총장 후보로는 서 총장과 신성철 물리학과 교수, 유진 신소재공학과 교수, 신강근 미국 미시간대 석좌교수, 외국인 교수 1명 등 모두 5명이 올라 있다. 서 총장은 교수 정년보장심사 강화, 입학사정관제 도입, 성적 부진학생 등록금 징수 등 일련의 개혁정책으로 화제를 모으면서 당초 연임이 유력했다. 하지만 개혁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소통과 화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온라인전기자동차와 모바일하버 등을 추진하면서 국내 과학계를 다소 무시하는 듯한 태도가 반감을 사면서 연임에 부정적인 시각도 크다. 이사회 내부에서도 서 총장의 연임에 대해 찬반 양론이 팽팽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교과부는 7월2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정관 개정을 통해 후보자가 추천되지 않을 경우의 총장 선임 절차를 만든 뒤 이사회가 직접 총장을 뽑도록 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