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내경제 전망] 2분기 가계수지 동향 관심

이번주에도 베이징올림픽 무대에서 한국선수들의 선전과 메달사냥 소식이 국민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을 것 보인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제시한 ‘저 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마스터 플랜을 만들기 위한 실무작업도 본격화 되고, 공기업 2차 선진화 방안도 이번 주 마무리 수순을 밟게 된다. 금주 발표예정인 경제지표 중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22일 나올 ‘2ㆍ4분기 가계수지 동향’이다. 고유가, 경기침체, 이자부담 증가 등으로 적자 가계가 늘고, 계층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어 이번 지표에서는 어떻게 반영될 지 주의깊게 살펴 볼 만 하다. 통계청이 지난 5월말 내놓은 ‘1ㆍ4분기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가구 당 341만5,0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5.0% 늘었으나 실질 소득은 1.2% 증가에 그쳤다. 반면 소비지출은 고정비에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가구 당 241만9,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실질로는 1.5% 늘어났다. 가계 살림살이는 한층 팍팍해지고 있음을 보여준 셈이다. 계층간의 격차를 나타내는 소득 5분위 배율 역시 전년 동기에 비해 악화되면서 소득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태다. 2ㆍ4분기 가계수지 동향 역시 지출이 소득 보다 더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가처분소득이 감소하는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18일 공개할 ‘서비스 수지 적자 지속 원인과 대책’ 자료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무역수지가 고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서비스 수지 적자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으면서 경상수지 흑자 전선에도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금융위는 19일 상장 퇴출 제도 선진화 방안을 최종 확정, 발표한다. 코스닥 기업에 대해 상장 규정을 고쳐 4년 연속 적자를 낸 기업은 관리종목으로 지정하고, 5년 연속 적자 기업은 시장에서 즉시 퇴출 하는 방안을 포함시킬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기획재정부는 이번 주 최종 마무리 과정을 거쳐, 오는 25일에 세제 개편안을 확정, 발표한다. 감세정책을 추진해온 이명박 정부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내놓는 세제 개편안이 어떤 내용을 담을 지 관심이 높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포퓰리즘에 휩쓸린 무분별한 감세로 인해 세제가 누더기로 전락할 수 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