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외리포트] 스위스 대기업CEO 고액연봉 진상조사

스위스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소속회사의 적자에도 불구하고 천문학적 연봉을 받거나 거액의 퇴직금과 각종보너스를 챙겨온 사실이 공개되자 의회가 진상조사 방침을 밝히는 등 정치문제로 비화되고 있다고 스위스 언론들이 16일 보도했다.이번 논란은 미국의 엔론파문이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CEO들의 부도덕성을 상징하는 대명사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최고경영진은 기업의 흥망과 관계없이 실속을 챙긴다'는 잘못된 기업관행을 바로 잡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여론에 불씨를 제공하고 있다. 파문의 발단은 스위스와 스웨덴의 합작 다국적 기업인 ABB가 지난해 11억 프랑이 넘은 적자를 냈다고 공식 발표한 가운데 전직 CEO 2명에게 과도하게 지급된 퇴직금 및 보너스에 대한 반환을 요청하면서 비롯됐다. 이 과정에서 ABB가 전직 CEO 2명에게 각각 1억4,800만 프랑(8,700만달러)과 8,500만 프랑(5,100만 달러)을 퇴직금 등의 명목으로 지급한 사실이 뒤늦게 공개됐다. 그러자 현지 언론들은 일제히 ABB사건을 엔론파문과 연계하면서 기업의 신뢰성과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스위스 재보험에서 20년간 관리직에서 근무한 여성 기업인인 캐롤 프랭클린은 스위스국제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도대체 그렇게 많은 돈으로 무엇을 할 것이며 왜 필요한지도 모르겠다"는 반응을 표시하고 "기업경영이 전반적으로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언론들은 국내 최대 은행인 UBS의 마르셀 오스펠 회장이 어떻게 1,200만 프랑의 연봉을 받게 됐는 지와 취리히 파이낸셜 서비스의 회장겸 CEO인 롤프 휘피가 경영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과연 520만 프랑의 연봉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일이 이렇게 되자 스위스 의회는 다음달 정례회기중 관련 상임위를 잇따라 열어 정식 조사에 착수하는 동시에 증권거래법을 비롯해 주식ㆍ채권의 양도에 관한 규정 등 제도적 개선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공공기업 고위 책임자들의 임금제한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언론들은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