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제2의 '김선일 참변' 우려 확산

이라크 주재 한국대사관 '노심초사'… "필수요원 제외하고 철수해야 "

이라크 무장단체에 납치됐던 가나무역 직원 김선일씨가 끝내 살해됨에 따라 국내는 물론 이라크 현지 교민 사이에서는 제2의 '비극'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무장단체가 김선일씨를 살해하기 직전 성명을 발표, 자신들의 요구사항은 한국군의 파병 철회며 이 요구사항이 수용되지 않는 한 협상의 여지가 없음을 거듭 강조했다는 점에서 한국인 납치-살해 사건의 재발 가능성이 결코 낮지 않다. 현재 이라크에는 대사관 직원 9명과 한국국제협려단(KOICA) 직원 3명, 대한무역진흥공사(KOTRA) 직원 2명과 기자 등을 포함해 60여명의 한국인이 이라크에서 활동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가운데 바그다드의 팔레스타인 호텔에 머물던 현대건설 직원 일부는 최근 귀국했으며 '글로벌 호프'라는 단체의 요원 4명은 나시리야에 머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난 20일 낮 바그다드공항에 출영 나갔던 시사주간 타임지의 사진기자 조성수씨가 "공항에서 바그다드로 입국하는 한국인 6~7명을 목격했다"고 말해 이라크 체류 한국인은 더 많을 가능성이 있다. 결국 한국군 파병 철회를 내걸고 납치-살해 등 테러공격을 가하고자 하는 무장단체에는 그만큼 '표적'이 늘어나는 셈이다. 이에 따라 이라크 주재 한국 대사관은 김선일씨 참수로 끝나는 게 아니라 앞으로도 재연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해 노심초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라크 체류 교민과 상사원 및 기자 등 민간인은 물론이고 KOTRA와KOICA 등 공적 성격의 단체 요원들도 필수요원을 제외하고는 철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민은 "한국 정부가 파병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제2의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정부 정책상 파병을 철회할 수 없다면 이곳의 교민과 상사원들을 일단 철수시키는게 상책"이라고 주장했다. 이라크 주재 한국 대사관의 핵심 관계자도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교민과 상사원들에 대한 신변 안전 대책을 더욱 강도 높게 마련, 실행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영묵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