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유럽, 그리스 지원 합의했지만… 伊 확산 대비를"

■ 한은 '세계경제 리스크' 분석<br>美 회복세 약화·中긴 축 기조 등 불안요인 꼽아

미국 국가부채 문제와 유럽 재정위기 사태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명박 대통령은 28일 기획재정부ㆍ한국은행ㆍ한국개발연구원(KDI)ㆍ국제금융센터 등 거시경제 실무자를 청와대로 불러 국민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하면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해 브리핑을 들었다. 이 대통령은 실무자들로부터 미국과 유럽ㆍ일본ㆍ중국 경제 현황과 불안 요인에 대해 설명을 들었으며 한국 경제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만큼 불확실한 해외변수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한은은 이날 내놓은 '세계 경제의 주요 리스크'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경제의 불안요인으로 ▦유럽 국가채무 ▦미국 경기회복세 약화 ▦중국의 긴축기조 등을 꼽았다. 유럽 국가채무 문제는 그리스 2차 구제금융 방안 합의에 대한 의구심이 여전히 상존하는 만큼 글로벌 금융시장을 옥죄는 요인이 될 것으로 지적했다. 유로존 문제가 유로 회원국 정상들의 합의로 시장안정에 기여하겠지만 단기 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합의안에 대한 실효성이 약해 경제규모가 큰 이탈리아ㆍ스페인 등으로 문제가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이 경우 더욱 근본적인 대응 방안이 모색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미국 경제 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딘 것도 불안 요소이다. 미국의 상반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 내외로 낮아졌고 실업률은 9%대로 재상승했다. 또 소비지출 증가세 약화, 주택시장 부진 지속 등이 경기회복세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보고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지 않은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도 당분간 기존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며 "하지만 고용사정 부진, 주택시장 침체 심화 등 국내 요인과 신흥경제국 성장세 축소, 국제유가 재상승 등 해외 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하반기에도 경기회복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 보고서는 중국의 긴축기조와 경기 연착륙 우려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중국의 물가상승률이 점차 둔화되고 과잉유동성 및 부동산가격 상승세도 현저히 완화된 상황"이라며 "긴축강도도 점차 약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