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동수 공정위장 "일부 가공식품에서 가격담합 혐의 적발"

"감시·대책반 계속 운영"

김동수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벌인 조사를 통해 일부 가공식품 중 상당수 품목에서 가격인상 담합 혐의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25일 서울 서초동 청사에서 가진 취임 첫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조사에서 식료품을 집중적으로 봤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며 "속도감 있게 조사를 진행하려 하고 있지만 설 전에 결과가 나오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철수 공정위 사무처장은 "현재 적발된 품목은 10개를 넘지 않지만 상당수"라며 "추가 조사를 통해 처벌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공정위 조사가 시작된 후 기업들이 눈치보기 식으로 가격을 내리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김 위원장은 공정위 조사와 무관하다고 강변했다. 그는 기업들이 알아서 내린 것이라고 잘라 말한 뒤 "직원들이 조사 과정에서 가격과 관련한 어떤 요구도 하지 않도록 지시했다"며 "지금이 1970~1980년대도 아니고 정부가 가격을 내리라 한다고 해서 기업이 가격을 내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근 조사 과정에서 불거지고 있는 기업활동 방해 논란과 관련해서는 영업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직원들에게 조사에 앞서 사전에 철저히 준비한 뒤 정해진 기간에 신속하게 조사하고 성과가 없더라도 기간이 지나면 철수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앞으로도 조사의 고삐를 바짝 죌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공정위 조사가 너무 급한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취임한 지 아직 한 달도 안 됐다"며 "이제 시작하는 단계인데 속도조절은 한두 달 이후에나 이야기해달라"고 말했다. 또 가격불안품목 감시ㆍ대응대책반(TF)도 앞으로도 상당 기간 운영할 방침이다. 그는 "앞으로 조사를 나가면 담합ㆍ유통왜곡 등을 한꺼번에 조사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과 관련해 "법ㆍ제도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며 "대기업 최고경영층이 인식을 전환해 기업 간 거래문화를 바꿀 수 있도록 의사소통을 강화하겠다"고 언급해 대기업 경영진과의 대화창구를 확대할 것임을 예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