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스펙 초월 NCS에 답 있다] <7>해외 사례

영·독 도제식 훈련에 활용 기술인력 키워

정부·기업 훈련프로 함께 개발

학교 교육·직업훈련 연계로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도 줄여


영국과 독일 등을 비롯한 세계 기술 강국들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토대로 전문 기술인력을 길러내고 평생교육 여건을 확립하고 있다.

NCS는 산업체에서 특정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 등의 능력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이른바 '직무능력 지침서'다.


유럽 선진국을 중심으로 각 나라에서는 NCS를 직업교육과 기업 내 인사·경력관리, 국가자격제도 등에 널리 활용하며 안정적으로 직무능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우리나라의 한국산업인력공단이 개발하는 NCS와 같은 개념으로 영국에서는 NOS(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가 쓰이고 있다. 영국에는 약 2만여 종류의 직업과 직무능력에 대한 NOS가 만들어져 있으며 산업인력 양성과 자격 등에 활용된다.

영국의 NOS는 산업계가 주도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각 기업은 NOS를 기반으로 직장 내 교육훈련(OJT)이나 학교훈련과정을 진행해 산업체가 원하는 맞춤형 인력을 길러낸다.


영국의 핵심적인 숙련기술인 양성 프로그램인 '신도제제도' 역시 NOS의 토대 위에서 운영된다. 신도제제도는 특정 직무기술을 배우려는 견습생이 숙련자 곁에서 1~4년간 일과 학습을 함께하는 것으로 2011년 기준 17만7,300여개 사업장, 66만5,900명이 참여했다.

관련기사



기술 강국 독일을 만든 도제식 훈련 '듀얼 시스템' 역시 직무능력표준이 밑바탕이 됐다.

듀얼시스템은 학생은 일주일에 1~2일 학교에서 이론을 공부하고 나머지 기간은 기업 현장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실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독일 전체 기업 3곳 중 1곳인 60만여 사업체가 일·학습 듀얼 시스템에 참여하고 있다.

독일 기업들은 듀얼시스템에 참여함으로써 훈련 참여자의 노동력을 기업의 생산활동에 활용한다. 또 이들을 실제 채용해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을 아끼고 적합한 사람을 구하는 부담도 덜고 있다. 아울러 기업이 사회적 책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돼 기업 평판까지 올라가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호주는 산업현장에서 근로자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이 무엇이고 이것을 어떻게 훈련하고 평가할지를 담은 '훈련패키지'를 개발할 때 국가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함께 만든다. 호주의 국가등록훈련기관 가운데 90%는 훈련패키지를 기초로 교육훈련을 하고 직업자격을 줌으로써 학교 교육과 직업훈련이 연계된다.

프랑스는 국가직무능력을 기반으로 능력중심의 교육과정과 훈련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사용자·전문가가 함께 1년~1년6개월 간 직무능력 표준을 개발하며 훈련 프로그램을 개설해 3~5년 주기로 직무능력표준을 재검토한다.

미국의 경우 주 정부 차원에서도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해 개별적으로 자격·교육훈련과 연계하고 있으며 핀란드는 국가 핵심교육과정이나 능력기초 자격과정 기준에 따라 학생, 사용자, 지역 행정관리인이 협력해 직업교육훈련-도제과정을 만든다.

산업인력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세계 150여개 국가가 우리나라의 직무능력표준(NCS)과 같은 시스템을 운영하고 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