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공기업CEO 인사는 풍년인데… "후폭풍이 두렵다"

240여개 기관장 최종후보 700명 넘어<br>부처 인사담당자들 적정인물 고르기 벅차<br>검증 미비·중복 교차등 부작용 우려 고심


‘단군 이래 최대의 공기업 최고경영자(CEO) 인사 풍년, 후폭풍이 더 두렵다.’ 정부 산하 기관장 인사업무를 담당하는 모 부처 관계자는 요즘 몸이 열 개라도 부족한 실정이다. 5~6개 기관 인사가 동시에 이뤄지다 보니 장ㆍ차관에게 인사 진행사항을 보고하는 것 자체가 큰 일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가 더 걱정하는 것은 후폭풍이다. 자질시비는 물론 내각 구성 때 등장했던 ‘고소영(고려대ㆍ소망교회ㆍ영남)’ 논란처럼 공기업 수장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워낙 지원자가 많아 적정 인물을 골라내는 작업도 벅차다. 공기업 한 곳당 3배수를 뽑아 추천해야 하는데 많은 곳은 20~30명의 지원자가 몰리고 있다는 후문이다. 관계부처의 한 인사담당자는 “공기업 CEO 인사가 이처럼 일시에 대거 몰린 적은 역대 정부 이래 처음 있는 일”이라며 “200곳이 넘는 공기업 CEO 인선이 비슷한 시점에 이뤄지다 보니 검증 미비, 중복교차 등의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고 전했다. ◇인사는 풍년인데…=정부는 305개 공공기관 중 산업은행을 비롯해 80%에 이르는 240여곳의 기관장을 교체할 계획이다. 이 같은 교체폭은 과거 역대 어느 정부보다 가장 크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통상 임원추천위원회는 최종 후보를 3배수 정도 압축한다. CEO를 새로 뽑는 곳은 240여곳으로 최종 후보에 이름을 올리는 인사만도 700여명이 넘는다. 최초 지원자까지 포함하면 최소 1,000명가량이 공기업 사장에 도전장을 내미는 셈이다. 문제는 현재의 취약한 인력시장의 구조상 적임자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더구나 그나마 검증된 전ㆍ현직 관료들의 경우 “관료차별은 없다”는 일부 기관의 공언에도 불구하고 지원을 꺼리면서 인력난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몇몇 공공기관이 재공모에 나서거나 응모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이 같은 현실을 그대로 보여준다. ◇교차ㆍ중복 지원, 검증 미비 등 후폭풍=공기업 CEO 인선이 집중되면서 나타날 부작용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이다. 새 정부의 코드에 맞는 인사를 찾는다는 것도 만만치 않은데다 형성된 인력풀도 제한적이어서 중복지원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각 기관이 독립적으로 임원추천위원회를 가동하다 보니 다른 기관의 CEO 선임 진행사항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고 일일이 타 기관 접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없는 일이다. 지식경제부의 한 관계자는 “우리 부처에 관련된 기관의 경우 교차ㆍ중복 지원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다른 부처 산하기관까지 접수했는지 여부는 솔직히 알 도리가 없다”고 말했다. 지원자의 양식을 믿는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인사의 자질검증도 쉽지 않다. 모 부처의 인사 관계자는 “인사를 진행하는 곳이 한두 곳이 아니지 않느냐”며 “정밀한 인사검증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CEO 선임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면서 적잖은 잡음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부처의 한 인사담당자는 “새로 CEO가 선출된 후가 어떻게 보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자질이 부족하다느니 인선 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다는 식의 말이 나올 게 뻔한데다 교차ㆍ중복 지원하는 케이스도 드러나는 등 적지 않은 부작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