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대통령전용기 회항 "볼트 1개 거꾸로 끼운 탓"

보잉서 잘못 조립해 출고→공기개폐기 문 파손


자료사진

지난 3월 기체이상으로 회항했던 대통령 전용기(공군 1호기)의 결함 원인은 공기개폐기 작동 축을 연결하는 볼트가 출고 당시부터 반대 방향으로 조립됐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영훈 공군 정훈공보실장(대령)은 4일 브리핑에서 "제작사인 보잉의 원인 분석 결과 공기개폐기 작동 축을 연결하는 볼트는 (대부분의 볼트가 머릿부분이 위로 가게, 즉 위에서 아래로 끼우는 것과 달리) 구조물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머릿부분이 아래로 향하게 설계됐지만 위에서 아래로 장착된 상태로 출고됐다"면서 "(그 결과) 공기개폐기 문이 볼트 아래쪽 돌출부분과 지속적으로 접촉해 누적된 피로 균열로 부서졌다"고 밝혔다. 최 실장은 "현재 보잉사 정비교범에는 해당 볼트와 관련된 주의사항이나 장착 지침이 소개돼 있지 않다"면서 "해당 볼트는 작동축 교체 등의 사유가 없으면 통상 장착 당시의 형태를 유지하며 공군 1호기 역시 2001년 제작 이후 해당 볼트가 교환ㆍ점검대상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공군과 대한항공은 지난 3월21일 공기개폐기 문이 부서진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제작사인 보잉에 공기흡입구 개폐기 문, 문 작동기, 연결장치 등 결함부품을 보내 정밀분석을 의뢰해 지난 1일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받았다. 보잉사는 같은 기종인 보잉 747-400 항공기에 대해 해당 볼트 장착 상태를 점검하도록 하는 내용의 정비개선회보를 발행하는 한편 해당 볼트의 장착 방향에 대한 주의사항을 정비교범에 반영할 예정이다. 보잉사 관계자는 "생산설치지침 업데이트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작동축 연결 볼트의 적절한 재설치를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항공기 정비 매뉴얼을 수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 전용기는 지난 3월12일 오전 8시10분 서울공항에서 이륙한지 15분 뒤 기체 하부에서 소음ㆍ진동이 발생해 인천공항으로 회항, 오전 9시50분에 착륙했다. 착륙 직후 대한항공의 점검 결과 객실 에어컨 시스템의 공기흡입구 3개 중 1개의 개폐기 문이 부서져 풍압에 의해 주변부와 부딪히면서 소음ㆍ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개폐기 문을 신품으로 교환한 뒤 오전 11시25분 재이륙했다. 정부는 지난해 4월부터 대한항공과 5년 임차계약을 맺고 2001년식 보잉 747-400을 빌려 대통령 전용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운항ㆍ정비는 대한항공, 관리감독은 공군, 운영 총괄책임은 청와대 경호처가 맡고 있다. 공군 관계자는 "항공기 정비는 정비교범에 따라 하도록 돼있기 때문에 정비를 맡은 대한항공에 귀책사유는 없다"면서도 "계획대로 운항하지 못한 책임을 물어 7,100여만원의 임차료 감액조치를 추진중"이라고 말했다. /속보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