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공개된 지난 7월29일의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당시 FOMC 위원들은 기준금리 인상을 위한 조건에 다가가고는 있지만 아직 충족되지 않았다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의사록은 "연방기금 금리(기준금리) 목표범위 인상을 정당화하기에는 아직 경제여건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위원회는 결론 냈다"고 명시했다.
의사록은 "중국에서 주식가격이 크게 떨어져 당국자들의 여러 가지 주식시장 부양책과 통제행위가 이어졌다"고 환기했다. 또한 "여러 명의 회의 참석자들은 중국 경제활동의 둔화가 미국 경제전망에 위험을 드리울 수 있다고 언급했다"고 적시했다.
의사록은 이번 회의에서 검토된 경제 데이터들을 볼 때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4분기에 완만히 증가하고 노동시장 여건이 지속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고 명시했다. 또한 "올해 실질GDP가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에너지 가격 약세와 비에너지 품목 수입가격 추가 하락으로 인해 FOMC의 장기 목표치인 2%를 밑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에너지 부문의 소비자가격이 더 떨어져 물가 상승에 대한 위원들의 전망치가 하향 조정됐다"며 "에너지 가격과 비석유류 수입가격이 내년부터 점진적으로 오를 것으로 보이지만 위원들은 물가 상승이 오는 2016년과 2017년에도 장기 목표치인 2%를 밑돌 것이라는 전망을 이어갔다"고 명시했다.
기준금리 인상 시 초래될 무역수지 적자 문제도 지난번 회의에서 거론됐다. 의사록은 "일부 회의 참석자들은 미국과 해외 간 금리격차가 달러화를 한층 평가절상시켜 (수입) 원자재 가격을 더욱 떨어뜨리고 순수출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잠재적 위험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이처럼 지난번 FOMC 회의에서는 전반적으로 기준금리 인상 연기 가능성을 시사하는 쪽으로 대체적인 중론이 모아졌지만 매파의 공세 역시 만만치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록을 보면 "일부 회의 참석자들은 경제가 과거 수년간 상당히 개선됐고 경제여건이 연방기금 금리 목표범위를 올리기에 충분하다고 봤다"고 소개했다. 또한 참석자 중 2명은 금리 정상화를 늦추게 되면 금융 안정성에 역효과가 초래될 수 있다고도 주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일부 매파적 의견도 있었지만 FOMC 위원들은 전반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하기 전에 더 많은 경제 관련 전망 정보가 필요하다는 쪽으로 중론을 모았다.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골드만삭스는 6월의 FOMC 회의 때보다 기준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않는 방향으로 기울었을 수도 있다는 진단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