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일본에서 생각하는 삼성은 어떤 기업?

‘일본 기업에서 볼 수 없는 삼성의 경쟁력은 ‘균형’을 갖춘 것이다’ 삼성 사장단들이 경쟁국인 일본으로부터 ‘삼성의 현 위치’를 다시 한번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삼성은 16일 수요사장단 회의에서 후카가와 유키코(深川由起子) 와세다대 교수를 초청, '일본에서 보는 삼성'을 주제로 강의를 들었다. 유키코 교수는 한국어를 능통하게 할 정도로 대표적인 한국통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유키코 교수는 우선 “일본에서 한국 기업 공부 붐이 일고 있다”며 “일본 기업은 의사결정 구조와 속도에서 약점이 있지만, 한국 기업은 압도적 규모의 투자에 대해 책임지고 결정하는 오너십이 강해 일본에서 굉장히 아프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삼성은 '하이브리드 구조'다. 이익 지향적이라는 미국식과 일본적인 기술개발 의지가 잘 결합돼 있다”며 “기초와 응용 연구, 연구개발과 마케팅, 가격과 품질 등 여러 측면에서 균형을 갖춘 것은 삼성만의 경쟁력”이라고 덧붙였다. 일본 기업이 기술 등 한쪽에 치우져 있고 의사결졍이 늦은 반면 삼성 등 한국 기업은 빠른 의사 결정 구조에다 기술과 마케팅, 연구개발 등에서 균형을 맞춘 것이 장점이라는 설명이다. 보완해야 할 부분으로는 ‘인텔 아웃사이드도 애플 인사이드도 안되는 현실’을 거론했다. 유키코 교수는 “컴퓨터는 갈수록 부가가치가 낮은 제품이 되고 있지만, 인텔 인사이드가 상징하듯 그 안의 핵심 부품은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애플 아웃사이드는 반대로 완제품을 설계해 업체에 부품 생산을 주문한다든가, 오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기업 생태계를 만들고 그로써 부가가치 경쟁력을 만드는 것”이라고 두 용어의 뜻을 설명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 기업이 공통적으로 인텔 인사이드도, 애플 아웃사이드도 못되고 있는 것 아니냐"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