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1월 27일] 2% 부족한 외교통상부

"외교통상부가 몰라도 정말 모르는 겁니다. 인도 현지 진출업체들이 가장 시급한 게 비자 문제인데 말이죠." 지난 23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 출장에서 만난 국내 중소업체의 한 관계자가 비자 문제로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는 사연을 털어놓으면서 건넨 얘기다. 현지 중소업체가 인도 직원들을 한국으로 보내 기술교육을 받고 오도록 해야 하는데 한국대사관에서 비자 발급을 꺼려 현지 공장 운영에 상당한 차질을 빚고 있다는 하소연이다. 비슷한 사연을 대기업 관계자들에게서도 들을 수 있었다. 현지에 진출한 모 대기업 관계자는 "주재원들이 비자 기간이 만료돼 한국으로 들어가 인도대사관에 비자발급을 신청하면 시간이 오래 걸려 중요한 계약을 앞두고 인도로 돌아오지 못해 곤란했던 적이 여러 번"이라고 전했다.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이나 비자발급 문제로 곤혹스러운 건 마찬가지 상황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이 얘기를 들으면서 인도에 막 도착했을 때를 생각하니 만감이 교차했다. 올해부터 한 · 인도 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이 발효되고 이명박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으로는 5년 만에 인도를 방문한다는 사실에 한국대사관을 중심으로 교포사회는 한껏 들떠있었다. 이 대통령의 방문으로 한국 이미지가 한층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부풀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인도에서 민간대사 격으로 열심히 뛰는 우리 기업들이 찬밥 대우를 받는 현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물론 외통부가 인도인의 비자발급을 꺼리는 것도 일리는 있다. 불법체류에 대한 당국의 입장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건을 보고 있자면 외통부의 민감한 대응이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격'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인도는 상호주의를 매우 중요시하는 국가다. 받은 만큼 되돌려준다는 얘기다. 최근 외통부는 한 · 인도 CEPA 협정 발효를 계기로 우리 기업의 인도진출을 독려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앞서 인도인의 비자발급을 꺼린다면 현지 진출 업체들도 똑같은 대접을 받아 피해를 떠안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와주지는 못할 망정 발목은 잡지는 말아야 하지 않겠는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