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벅스뮤직, 유료화 선언

저작권 문제 해결목적…음악업계에 '백기'<br>네티즌 반발 클듯…3개월 시범운영후 본격화

벅스뮤직, 유료화 선언 저작권 문제 해결목적…음악업계에 '백기'네티즌 반발 클듯…3개월 시범운영후 본격화 • [인터뷰] 벅스 박성훈 사장 "소송 원만히 합의 위한 결정" • 벅스 `유료화 선언' 의미와 전망 • 네티즌 분개 "음반업계에 항복한 셈" • 벅스뮤직은 어떤 회사? 국내의 대표적 온라인 음악사이트인 벅스(bugs.co.kr)가 저작권 문제를 둘러싼 음악업계와의 대립끝에 결국 유료화를 선언했다. 박성훈 벅스 사장은 13일 "음악업계와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유료화 요구를받아들여 서비스를 유료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 사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국내 음악 스트리밍 시장은 인터넷방송 개념으로 전면유료화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에는 변함이 없다"며 "그러나 현재 법원에서 진행중인 소송과 관련해 조정안이 나왔고 상대편에서 조정안 수용 조건으로 벅스 유료화를 내걸어 이를 수용키로 했다"고 말했다. 유료화 방식은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았으나 다른 음악사이트들과 같이 월(月)일정한 요금을 매기는 정액제나 1곡당 일정액을 과금하는 종량제 방식을 채택할 방침이다. 박 사장은 "월 정액제건 종량제건 유료화라는 대전제를 일단 수용한 뒤 과금방식 등 구체적인 부분은 이용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것"이라고덧붙였다. 벅스는 앞으로 석달간 유료화 시스템을 시험운영한 뒤 본격적으로 유료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벅스는 실명 회원 1천600만명을 갖고 방문자수 기준 등으로 현재 국내 전체 인터넷 사이트 중 6위권을 확보하고 있는 대형 사이트다. 그간 음악업계의 유료화 요구를 받아들인 대다수 음악 사이트들과 달리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무더기 소송을 당하는 등 갈등을 빚어왔으나 이번유료화 선언으로 음악업계와의 합의를 통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 그러나 그간 공짜로 벅스에서 음악을 듣던 네티즌들의 반발이 적지 않을 것으로보여 유료화를 추진하면서 이용자 기반을 유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입력시간 : 2004-07-13 20:2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