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제3의 산업합리화' 막 오른다

조선·반도체등 전업종 '옥석가리기' 넘어 구조개편 급선회


'제3의 산업합리화' 막 오른다 조선·반도체등 전업종 '옥석가리기' 넘어 구조개편 급선회 이종배 기자 ljb@sed.cokr 이철균 기자 fusioncj@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정부의 기업 구조조정 방향이 옥석 가리기를 넘어서 한국의 산업지도를 다시 그리는 ‘산업합리화’로 급선회하고 있다. 지난 1980년대 해운산업을 필두로 이뤄진 중화학공업 재편과 1997년 외환위기에 따른 구조조정에 이어 제3의 산업합리화의 서막이 열리는 셈이다. 특히 정부는 이번 산업합리화 대상에 중복과잉 투자가 이뤄진 중소 조선ㆍ석유화학 외에 반도체ㆍ완성차 등 모든 업종과 기업을 넣을 계획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26일 지식경제부 등 부처 업무보고 자리에서 “(최근의 금융위기를 맞아) 대기업들이 자발적으로 구조조정을 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또 이번 위기를 통해 정부가 각 분야를 포함해 기업들이 세계적인 선도기업이 될 수 있도록 위기를 기회로 삼는 대책을 수립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단순한 기업 구조조정에서 벗어나 산업합리화의 큰 틀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임승태 금융위원회 사무처장도 이날 “(건설사 및 중소 조선사 외에 다른 업종 추가 구조조정과 관련한) 가능성은 다 열려 있다”며 “성장동력을 지키기 위해서는 중복ㆍ과잉되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범위에 대해 그는 “현단계에서 말하기 어렵지만 전산업 분야를 다 살펴봐야 한다”고 언급해 이번 구조조정이 전분야에 걸쳐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에 앞서 청와대와 정부는 이번 구조조정을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산업정책적 관점에 맞춰 진행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당국 최고위관계자는 “기업 구조조정을 산업정책적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게 청와대와 정부의 합의점”이라며 “단적인 예로 중소 조선사의 경우 벌크선을 주로 제작하는데 이들이 모두 도산하면 중국의 벌크선 경쟁업체들에 좋은 일을 시켜주는 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따라서 단순히 개별기업의 재무적인 측면이 아니라 장래 경쟁력 있는 산업구조로 어떻게 재편해나갈지를 고려해 기업 구조조정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산업정책 총괄부처인 지경부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가 최근 양 기간의 협의체인 ‘실물금융종합지원단’을 설립한 것 역시 산업합리화 측면에서 구조조정을 추진하기 위해서라는 것이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 관련기사 ◀◀◀ ▶ '제3의 산업합리화' 막 오른다 ▶ 車부품·중소 조선·유화 '구조조정 1순위' 될듯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