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중소기업 34%, 채용 공고 내고도 인재 못뽑아

국내 중소기업 10곳 중 3곳 이상은 채용 공고를 내고도 사원을 뽑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 기업의 인력채용난이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에 따르면 올 하반기 채용을 마감했거나 진행 중인 중소기업 134개사를 대상으로 '채용공고 중점사항 및 입사지원율'에 대해 조사한 결과, 34.3%의 기업이 마땅한 인재가 없어 채용을 못했다. 기업과 구직자는 채용공고에 대해 관심 갖는 부분이 달랐다. 기업은 채용공고를 낼 때 가장 신경 쓰는 항목(복수응답)으로 '직무소개'란 응답이 55.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응시자격요건(47.8%) ▦근무여건(41.0%) ▦급여수준(30.6%) ▦기업정보(27.6%) ▦복리후생(20.1%) ▦제출서류(17.2%) ▦선발인원(6.7%) ▦기업문화소개(6.0%) 순이었다. 반면 기업이 구직자로부터 채용공고 진행 중 가장 많이 받는 질문으로는 '급여수준'이 87.5%로 월등히 높았다. 이어 ▦근무여건(52.9%) ▦직무소개(37.5%) ▦복리후생(33.7%) ▦제출서류(27.9%) ▦응시자격요건(12.5%) ▦기업정보(11.5%) ▦면접유형(6.7%) ▦기업문화(4.8%) ▦선발인원(2.9%) ▦기타(1.9%)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구직자의 문의사항에 충분한 답변을 하고 있냐는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가 77.6%, '답변하지 못(안)하고 있다'가 22.4%로 조사됐다. 답변을 못(안)하는 이유는 '질문에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다'란 답변이 53.3%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답변을 할 수 없는 질문이 많다'가 30.0%, '질문이 없어서'가 16.7%로 나타났다. 김화수 잡코리아 사장은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에 비해 기업에 대한 정보가 미흡한 것이 사실"이라며 "중소기업은 채용공고를 통해 구직자가 진정 알고 싶어 하는 정보를 제공 할 때 구직자들로부터 신뢰를 얻어 입사지원율은 높아 질 것"이라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