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전국 토지 88.7% 개별공시지가 상승

평균 지가상승률 18.9%…稅 부담 급증 예상<br>연천군, 98.1% 상승 1위

전국 토지 88.7% 개별공시지가 상승 평균 지가상승률 18.9%…稅 부담 급증 예상연천군, 98.1% 상승 1위 관련기사 • 공시지가 상승… 세금 얼마나 늘어나나 • 공시지가 기준 전국 땅값 2천조원 넘었다 • 서울 땅값 어디가 올랐나… 용산·은평 강세 • 충무로2가 '로이드' 부지 개별공시지가 1위 전국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각종 개발사업과 공시지가 현실화 방침으로 전국 토지 88.67%의 개별공시지가가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공시지가 상승률도 평균 18.94%로 부동산 투기 열풍이 거셌던 작년 상승률(18.58%)보다도 높았으며 지난 90년 이후 최고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도별로는 충남이 35.72%로 가장 상승률이 높았고 기초자치단체별로는 연천군(98.1%)의 땅값이 가장 많이 올랐다. 건설교통부는 올해 1월1일을 기준으로 전국 2천791만여 필지(표준지 50만필지포함)의 개별 공시지가를 산정해 31일자로 공시한다고 30일 밝혔다. 개별공시지가는 양도소득세와 종합토지세, 취득세 등 토지관련 각종 조세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훼손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의 부과기준이 되는 것으로, 개별공시지가가 오른 만큼 세부담도 늘어나게 된다 올해 공시지가가 오른 곳이 대부분인데다 상승률도 커 세금 부담이 만만치 않게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재산세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개별 공시지가가 예년보다 한달 앞당겨져 재산세 과세기준일(6월1일) 전에고시됨에 따라 2년치 땅값 상승분이 세금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작년까지는 재산세 고시일이 6월30일로 과세기준일보다 늦어 전년도 공시지가를기준으로 부과됐다. 전국 2천791만여 필지 가운데 88.67%인 2천474만7천여 필지의 지가가 오른 반면 하락한 곳은 4.56%인 127만3천여 필지에 불과했다. 변동이 없는 곳은 6.77%(189만여 필지)였다. 지역별로 지가가 상승한 필지의 비율은 서울 및 6대 광역시(75.87%)보다 중소도시와 농촌지역(90.49%)이 훨씬 높았으며 이는 그동안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의 공시지가 현실화율이 상대적으로 대도시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지가 상승률은 전국적으로 18.94%에 달했다. 지난 96년 이전에는 공시지가 자료가 전산화돼 있지 않아 구체적인 통계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연간 지가변동률 추이를 보면 이런 상승률은 지난 90년 이후 최고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교부는 순수한 가격 상승에 따른 상승률은 3.9% 수준이며 나머지는 공시지가 현실화 방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은 공시지가가 작년대비 11.6% 상승해 전국 평균보다 훨씬 낮았다. 이는 공시지가 현실화율이 다른 지역보다 높았고 정부의 부동산 안정대책도 어느 정도 먹혀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도별로 가장 상승률이 높은 곳은 충남(35.72%)이며 각종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경기(35.37%), 경남(23.08%), 강원(19.06%) 등이 뒤를 이었다. 기초자치단체별로는 파주신도시 개발이 호재로 작용한 경기도 연천(98.10%)을비롯해 경기도 양주(68.49%) , 화성(61.03%), 평택(60.70%) 등 수도권의 주요 택지지구나 인근 지역이 많이 올랐다. 개별 필지별로는 서울 중구 충무로1가 24-2번지 옛 스타벅스 자리(평당 1억3천884만원)가 작년에 이어 가장 비싼 땅으로 조사됐다. 지가가 가장 싼 곳은 경북 경주시 양남면 효동리 산360-3번지 임야(평당 162원)로 가장 비싼 곳의 85만7천분의 1 수준이었다. 주거지역 중 지가가 가장 비싼 곳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670번지 동부센트레빌부지(평당 1천785만원)로 작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한편 개별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경우 6월 한달간 토지 소재 시.군.구에 이 의신청을 하면 재조사를 거쳐 7월말에 결과를 통지해준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기자 입력시간 : 2005/05/30 11:4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