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글로벌 회사채시장 '좀비기업' 우려 확산

대규모 부양책이 디폴트 늦췄지만 중앙은행 긴축 기조로 돌아서면

금리 상승으로 파산 역풍 맞을수도

글로벌 회사채 시장에서 파산 직전인 '좀비기업'을 둘러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금은 중앙은행에서 풀린 유동성 덕에 투기등급(정크) 기업들이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면하고 있지만 중앙은행이 긴축기조로 돌아서면 언제든 파산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5일(현지시간) 좀비기업들의 낮은 디폴트율은 폭풍전야와 같은 '불안한 정적'일 뿐이라고 경고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에 따르면 올 1·4분기 현재 글로벌 정크기업 가운데 지난 1년간 디폴트를 선언한 기업은 전체의 2.3%에 그쳤다. 이는 전 분기보다 0.3%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최근 디폴트율이 과거 추세를 밑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지난 2월 기준으로 집계한 미국 및 유럽 지역 투기등급 기업들의 1년 평균치 디폴트율도 2.6%에 그쳤다.

관련기사



그러나 이는 금융위기 이후 각국 중앙은행의 대규모 부양정책으로 풀린 돈이 디폴트를 늦췄기 때문일 뿐 언제든 파산의 역풍이 닥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전문가들은 미국을 시작으로 각국 중앙은행이 긴축기조로 돌아서면서 금리가 오를 경우 정크본드 시장이 바로 위기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회사채 시장은 다른 자산 시장에 비해 유동성이 훨씬 낮기 때문에 일단 매도가 시작되면 가격 하락폭이 상당히 클 것이라고 FT는 내다봤다.

에이드리언 밀러 GMP 증권채권 투자전략가는 "(금리상승으로) 채권 시장이 정크기업들에 등을 돌린다면 12~18개월 안에 디폴트율이 급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