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호암은 독창적 기업 모델 창시자"

한국 新유교주의에 선진국 경영방식 결합<br>탄생 100주년 심포지엄 "인재제일 경영이념 계승·발전 시켜야"

10일 신라호텔에서 열린‘호암 이병철 탄생 100주년 기념 국제 학술 심포지엄’에 국내외 재계^학계 인사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조석래(앞쪽) 전경련 회장이 개회사를 준비하고 있다. 이호재기자

삼성그룹 창업주인 고(故) 호암 이병철 회장에 대해 한국 고유의 신(新)유교주의에 선진국의 경영방식을 종합한 '독창적 기업 모델의 창시자'라는 평가가 나왔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한국경영학회ㆍ삼성경제연구소가 신라호텔에서 공동 개최한 '호암 이병철 탄생 100주년 기념 국제 학술 심포지엄'에서 프랑스 소르본대의 도미닉 바흐조 교수와 이 대학 극동연구센터 랑리 박 바흐조 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으로 공동 주제발표를 했다. 이들은 "호암은 한국의 신유교주의와 일본의 재벌(Zaibatsu) 및 기업집단(Keiretsu) 등 경영시스템, 독일의 생산방식, 그리고 미국의 관리방식을 종합해 독창적 기업모델을 창조했다"면서 "호암의 리더십 아래 삼성은 다른 기업과 차별화되는 독창성을 보였으며 한국 대기업의 상징이자 표본이 됐다"고 평가했다. 또 미국과 서유럽의 기술장벽을 뛰어넘기 위해 인재양성에 투자한 점, 실천과 신뢰를 중시하고 조직을 통한 관리 등도 호암의 독특한 경영철학이라고 진단했다. '한국 경영사에서 호암의 위치'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장진호 연세대 교수는 "호암은 국내 최초로 공개경쟁 채용제와 비서실, 사업부제를 도입했다"면서 "사업보국, 인재제일, 합리추구라는 경영이념을 제도의 틀에 담아 삼성이라는 거대한 조직을 운영할 수 있는 독특한 경영체제를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야나기마치 이사오(柳町功) 일본 게이오대 교수는 "호암이 인재제일의 경영이념 아래 인재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인재확보를 적극적으로 추진한 것이 오늘날 삼성의 문화로 정착했다"면서 "이는 미쓰비시 창업자인 이와사키 야타로와 유사하다"고 말했다. 또 송재용 서울대 교수는 '21세기 한국과 기업가 정신'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호암의 인재제일 이념, 기업가 정신과 창조정신, 도덕정신과 공존공영의 경영철학이 계승, 발전돼야 할 시점"이라고 역설했다. '한국 기업집단과 신사업창출'에 대해 발표한 타룬 칸나 하버드대 교수는 "한국의 기업집단은 경기가 좋을 때나 나쁠 때나 새 회사를 창업해 잠재적으로 국가 경제에 도움을 주었다"면서 "한국 재벌을 포함한 전세계 기업집단에 대해 문제점만을 지적하기보다는 이들이 경제활동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순기능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내외 재계ㆍ학계 등의 인사 500여명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서는 조석래 전경련 회장과 이현재 호암재단 이사장이 개회사와 축사를 했으며 최우석 전 삼성경제연구소 부회장이 '호암의 추억'을 주제로 본인이 지켜보았던 호암의 생전 모습을 들려주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