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번호이동제도 악용 '휴대폰 메뚜기' 날뛴다

수시로 보조금 받아 싸게 산 뒤 되팔아<br>막을 대책 없어 일반 이용자들 부담 가중




이동통신사들의 번호이동제도를 악용해 수시로 싼 값에 휴대폰을 구매한 후 이를 되파는 ‘휴대폰 메뚜기’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사들이 자기 회사로 옮겨오는 번호이동 고객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을 노려 휴대폰을 싼 값에 구입한 후 이를 불과 3~4개월 만에 되파는 수법을 통해 한 해에 많으면 3차례나 휴대폰을 바꾸는 얌체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보통 3개월만 지나면 휴대폰을 바꿀 수 있는 맹점을 이용해 사용하던 휴대폰은 중고로 되팔고 자신은 번호이동을 통해 새 것을 장만한다. 휴대폰 메뚜기들은 번호를 이동하면 불법으로 수십 만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지만 기기를 변경할 경우에는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을 노린다. 이통사를 옮기지 않고 기기만 변경하면 보조금을 한 푼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휴대폰 값을 고스란히 지불해야 한다. 번호이동을 통해 불법으로 보조금을 받더라도 의무사용기간이 없기 때문에 새 휴대폰의 명의변경이 가능한 3개월 정도만 기다리면 이를 타인에게 매매할 수 있다. 상태가 좋고 사용기간이 짧은 휴대폰은 비교적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조금을 받고 산 가격 이상으로 되팔 수도 있다. 최근 2년간 6개의 최신 휴대폰을 바꾸면서 재가입비를 포함해 60만원도 채 들이지 않은 사람들도 상당수에 달한다. 보통 최신 휴대폰을 한 대 살 수 있는 가격으로 6개의 휴대폰을 이용한 셈이다. 특히 휴대폰 메뚜기들은 가입비가 상대적으로 싸고 재가입 때 가입비 할인 혜택이 있는 KTF와 LG텔레콤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은 가입비가 5만5,000원으로 비싼데다 재가입에 따른 할인 혜택이 없기 때문에 번호이동을 하면서 보조금을 받더라도 비용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동통신사들로서는 이런 메뚜기 고객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이 없다. 보조금을 주더라도 의무가입기간을 둘 수 없기 때문에 한 사람이 여러 차례 번호를 바꾸더라도 불이익을 주기 어렵다. 이동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휴대폰 메뚜기들이 받는 혜택은 고스란히 일반 이용자들의 부담에서 나올 수 밖에 없다”면서 “오래 쓰고 많이 기여한 소비자에게 확실한 혜택이 돌아가도록 정책이 짜여져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