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企인력난 임금·연령 차이탓

노동硏 조사, 희망직종·거주지역 불일치도 한몫중소 제조업체들이 인력난을 겪는 주된 이유는 업체와 구직자 사이에 희망 임금과 연령, 직종 등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조사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최근 안산과 시흥지역의 구인업체 718곳과 구직자 509명을 대상으로 '인력수급 현황 및 인력수급 불일치 원인'에 대해 면접조사를 실시해 5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구인업체의 임금 수준은 월 평균 106만원인데 비해 구직자의 희망 임금은 137만원으로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구직자의 40.5%가 30대 후반 이상의 연령층인데 반해 구인업체는 20대와 30대 초반의 인력을 집중적으로 선호하고 있다. 구직자들의 희망직종을 보면 사무경리직이 33.9%, 기술직과 단순노무직이 각각 19.8%, 생산기능직이 17.3%로 사무관리직에 편중돼 있다. 특히 단순노무직의 경우 구인업체는 46%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데 비해 구직자는77%가 지방에 거주, 취업을 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노동부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년부터 고용정보망(WORK-NET)에 지역별, 직종별 고용량과 임금 등 지역단위 고용정보를 제공, 구직자들이 스스로 눈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고용안정센터를 통한 심층상담을 실시키로 했다. 또한 젊은 층을 대상으로 인력부족 직종에 대한 맞춤훈련과 우선직종훈련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직업훈련비 지원도 대폭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