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10만원권 자기앞수표 퇴조 가속화

일평균 결제액 99년 이후 최저

고액권 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10만원권 자기앞수표의 사용빈도가 계속 감소, 9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월중 자기앞수표의 하루평균 결제금액은 2천683억원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26.4% 감소했다. 이는 지난 1999년 11월의 2천678억원 이후 5년2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자기앞수표의 일평균 결제액은 외환위기 직후 감소추세를 나타내면서 99년 4월2천173억원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2002년 7월에는 3천579억원으로 정점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후 신용카드 결제와 인터넷뱅킹 등을 이용한 전자결제가 일반화되면서자기앞수표의 사용이 계속 감소, 뚜렷한 퇴조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간 통계로 10만원권의 일평균 결제액은 2002년 3천338억원으로 전년 대비 12.2% 늘었으나 2003년에는 3천278억원으로 1.8% 감소했으며 지난해는 2천947억원으로10.1%나 줄었다. 특히 지난해 9월부터는 은행들이 일정 수수료를 받고 타은행 발행 자기앞수표를 즉석에서 현금으로 교환하는 서비스를 도입했으나 10만원권 자기앞수표의 인기는 갈수록 시들고 있는 형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의 입장에서도 10만원권 자기앞수표의 발행비용과 결제후 보관비용 등이 부담스러운 편이며, 고객들도 당장 현금화하기 위해서는 수수료를 물어야 하는 점 때문에 사용을 기피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