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의 몸집 불리기

시중은행들이 최근 들어 앞다퉈 몸집 불리기에 나서 논란을 빚고 있다. 외환위기 후 조직과 인원의 감량 등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거치고 이제 한숨을 돌릴만하게 되니까 '사업확장'이라는 명분으로 여기 저기 중복 진출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 재벌기업의 문어발식 행태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는 꼴이다. 금융산업의 다각화라는 측면에서는 순 기능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구태(舊態)재연이 국민들에게 좋게 비칠리 없다. 자칫 또 다시 금융 부실을 불러 오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를 낳고 있는 것이다. 올들어 시중은행들은 너도나도 점포 확장에 나섰다. 국민은행의 150여개를 비롯, 모두 286개가 증설될 예정이다. 이렇게 될 경우 시중은행(국책 및 지방은행 제외)의 점포수는 총 4,338개로 97년말(4,682개)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 된다. 점포를 늘리면 인원도 충원해야 하지만 예금유치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 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편법적인 수단도 동원되는 것은 물론이며 이로 인한 부작용도 적지 않을 것이다. 이미 경험했던 바다. 구조조정의 효과를 뒤로 돌리는 셈이 되는 것이다. 시중은행들은 또 사업영역을 다각화한다는 구실로 카드업에도 진출했다. 우리와 신한은행의 카드사 설립에 이어 조흥은행이 추진중이다. 대금업에는 국민ㆍ한미ㆍ신한은행 등이 진출키로 했으며 신한과 국민은 행은 신용정보회사도 세울 계획으로 있다. 대금업은 고리대금으로 피해를 당하고 있는 금융 소비자를 보호한다는 취지이나 은행 본연의 기능과 맞지 않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복권사업을 준비중인 은행들도 4곳이나 된다. 시중은행들은 나름대로 수익성도 충분히 따져 보았다고 밝히고 있으나 중복투자에 따른 집단 부실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국내 20개 전 은행(국책ㆍ지방은행 포함)은 지난 1ㆍ4분기중 무려 2조3,000억원에 달하는 순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배 이상 늘어난 액수다. 실적이 이처럼 호조를 보인 것은 예대 마진이 커진 것이 그 요인이지만 신용카드 수수료 수익이 지난해 대비 53.4%나 늘어난 데 힘입은 것이다. 은행마다 신용카드에 진출하겠다고 나서는 것도 이해가 간다. 그러나 행원 1인당 순익으로 본다면 아직 선진국 유수은행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몸집 불리기에 나선 은행 대부분이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사업확장도 좋지만 부실화 될 경우 국민들의 혈세만 낭비된다. 이제 첨단금융기법등 소프트웨어 개발에 눈돌려 내실을 다지면서 본연의 기능에 더욱 충실해야 할 때다.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