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올해 취업자 5060세대가 1020세대의 4배

청년층 겨냥 일자리 창출 대책 실효 의문<br>구직포기하고 취업준비하는 인구 늘어나

올들어 일자리를 구한 취업자 가운데 50대 이상이청년층보다 4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나 청년층을 겨냥한 정부의 일자리 창출 대책이기대만큼의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일 통계청의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7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취업자 수는 2천275만명으로 작년 12월말의 2천209만6천명보다 65만4천명이 증가했다. 늘어난 취업자를 연령별로 보면 60대가 44.3%인 29만명이었고 이어 50대가 12만6천명으로 19.2%를 차지, 전체의 63.5%인 41만6천명이 50대 이상이었다. 올들어 일자리를 구한 사람 10명중 6명 이상이 50대 이상이었던 셈이다. 이에 비해 일자리가 당장 급한 청년층(15-29세)은 15.9%인 10만4천명에 그쳐 50세 이상 장노년층의 4분의1에 불과했다. 40대도 11만3천명으로 17.2%에 달해 청년층보다 많았고 30대는 2만명으로 3%에그쳤다. 이처럼 청년층 취업이 기대만큼 늘지 않고 있는 것은 기업들이 신규 대졸자보다는 경력직을 선호하는 있는데다 청년층들이 힘들고 어려운 `3D'업종보다는 편하고손쉬운 일만을 찾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들어 청년층 일자리는 크게 늘어나지 않았지만 실업자 수는 연령대 가운데 유일하게 감소했다. 청년층 실업자는 작년말보다 4만6천명이 감소했으나 50대는 1만4천명, 30대는 1만2천명, 40대는 7천명, 60대는 1천명이 각각 늘어났다. 이처럼 청년층 실업자 수가 감소한 것은 취업이 늘어났다기 보다는 당장의 일자리 찾기를 포기하고 도서관이나 전문학원 또는 훈련기관을 다니면서 취업준비를 하는 사례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취업준비를 하는 경우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돼 취업자나 실업자 통계 어느쪽에도 잡히지 않는다. 비경제활동 인구 가운데 도서관 등을 오가면서 취업을 준비하는 인구는 7월말현재 작년말보다 4만6천명이 늘어났고 학원 등을 다니면서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은1만8천명이 증가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