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신경병증성 통증’ 발병ㆍ완화 메커니즘 규명

서울대 강봉균 교수팀...통증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어

현대인의 만성 질환인 ‘신경병증성 통증’이 뇌에서 발병하는 원인과 통증을 완화하는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서울대 생명과학부의 강봉균 교수팀은 감정반응과 학습ㆍ기억의 인지기능 및 통증과 관련된 대뇌 전대상피질(ACC)의 인산화 효소에 의해 시냅스 간의 신호 전달이 강화되면 신경병증성 통증이 발생하고 이 효소의 활성이 억제되면 통증도 완화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일 밝혔다. 신체 손상이 아니라 신경세포의 손상 또는 신경계의 이상으로 발병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은 환자들에게 참을 수 없는 고통을 주지만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현재 뚜렷한 치료법도 없다. 일반적으로 신경병증성 통증은 감각신경세포 손상으로 인한 장기적인 자극에 의해 대뇌의 전두피질에서 시냅스 간의 신호 전달이 강화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 교수팀은 생쥐에게 신경병증성 통증이 유발되면 통증을 담당하는 대뇌 전대상피질에서 PKM제타의 활성이 증대되고 이를 억제하면 증가된 시냅스 강화현상도 완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강봉균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학습과 기억의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인접 분야인 통증에도 적용한 성공적인 사례”라면서 “그동안 뚜렷한 치료법과 치료제가 없어 고통을 받던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는 획기적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 전문지인 ‘사이언스(Science)’지 3일자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