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비리 백화점' 부산항운노조

경찰, 취업·승진 미끼 6억 챙긴 간부 6명 검거… 수사 불응 지시도<br>"자체적으로 인력 뽑는 방식 바꿔야" 목소리

부두하역 노동자 취업 등을 미끼로 거액의 금품을 가로챈 부산항운 노조 간부 6명이 경찰에 적발됐다. 부산항운 노조 비리는 지난 10년 동안 끊임없이 터져나온 문제여서 근본적인 해결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부산지방경찰청은 14일 부두 노동자로 취업을 시켜주겠다거나 노조 조합원으로부터 인사청탁 과 정년연장 등의 명목으로 총 6억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배임수재 및 사기)로 부산항운노조 제1항업지부장 우모(55)씨 등 노조간부 6명을 검거했다. 경찰은 이 가운데 우씨 등 2명을 구속하고 4명은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 부산항운노조 간부는 2010년 10월 부산항운노조 취업을 희망하는 최모씨에게서 1,200만원을 받는 등 모두 11명으로부터 취업 청탁 명목으로 4억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가 있다. 이들 간부는 또 2010년 5월부터 최근까지 정년퇴직 예정자인 김모씨 등 노조원 2명에게 "정년연장이 보장되는 노조위원으로 임명, 3년간 정년을 연장시켜주겠다"며 5,500만원을, 조합원 주모씨 등으로부터는 "조장으로 승진시켜주겠다"며 7,400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도 받고 있다.

관련기사



부산항운노조의 취업 비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최근 10년 동안만 서너 차례나 터져나왔다. 취업이나 승진 등을 조건으로 돈을 받아 챙기는 골 깊은 구조적 비리가 있는 것이다.

부산경찰청이 지난해 2월 첩보를 입수한 뒤 계좌 추적 등을 거쳐 거의 1년 만에 관련자들을 검거했지만 워낙 구조적이라 수사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후문이다.

부산항운노조는 노무 독점과 직장 내 권력관계 때문에 그동안 수차례 수사를 받고서도 내부 비리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특히 항운노조 측은 경찰 수사를 받는 동안 수사 방해도 서슴지 않았다. 실제로 일부 노조 간부는 조합원에게 수사에 협조할 경우 힘든 곳으로 보내겠다고 협박하고 출석 요구 때는 뒷일을 책임지겠다며 수사 불응을 지시하기도 했다는 증언이 나오기도 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7,500여명의 조합원을 거느린 부산항운노조의 인사ㆍ취업 비리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항운노조가 자체적으로 인력을 채용하는 항만노무의 독특한 방식을 개선하지 않는 한 비리근절은 쉽게 이뤄지기 힘들다는 지적이 많다. 현재 부산지역 항운노조 28개 지부 가운데 노조가 자체 인력채용과 인사권을 쥔 곳은 18곳에 달한다. 이들 지부의 인력채용의 경우 반장 등 중간 간부의 추천에 의해 지부를 거쳐 항운노조에 가입추천이 이뤄지고 승인 여부는 노조 인사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되는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평조합원-반장-지부장-부위원장-위원장으로 서열화된 조직의 특성상 조합원 채용과 전보 등 모든 권한이 이들에게 집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항운 노조의 비리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인사채용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부산경찰청 관계자는 "조합원 가입과 인사권이 반장ㆍ지부장ㆍ위원장에게 독점된 상태에서는 인사와 채용에 공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곽경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