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기업 대출창구도 옥죈다

은행들이 개인에 이어 기업들에 대해서도 대출을 억제하거나 축소하는 등 돈 빌려주기를 꺼리고 있다.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기업대출의 부실화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연체율 증가를 막기 위해 신용카드에 이어 본격적인 디마케팅(Demarketimg)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실적악화 등으로 자금확보에 가뜩이나 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들의 부담이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게다가 은행들이 정부의 부동산투기 억제대책의 일환으로 이 달부터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에 대한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60%에서 50%로 낮춤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개인대출 역시 현저한 둔화세가 예상된다. ◇연체율 잡기 총력=은행들이 올들어 개인은 물론 기업부문의 연체율이 꺾일 기세를 보이지 않자 연체율 관리를 최우선 경영목표로 삼고 대출창구를 연이어 옥죄고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올해 가계 대출 증가율을 당초 목표 12∼13%선에서 명목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수준인 8% 이내로 하향조정하고 기업 대출 증가율은 종전 11∼12%선에서 실질 GDP 성장률 수준인 5%선에서 억제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의 이 같은 방침은 5월 말 현재 중소기업과 가계대출 연체율이 각각 4%와 2.8%로 3월 말의 3.74%와 2.7%보다 올라가는 등 건전성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국민은행의 원화 대출금(기업 및 가계 대출) 월별 증가액은 1월 9,674억원, 2월 9,106억원에서 3월에 1조6,639억원으로 치솟았다가 4월 8,215억원, 5월 7,364억원으로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다른 시중은행들도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는 중소기업 부문을 중심으로 대출을 자제하기로 방침을 이미 정했거나 대출 증가율 목표를 한 자리 수로 끌어내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잠재부실 솎아낸다= 은행들의 대출기피 현상은 특히 부실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소기업 쪽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대출심사 강화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연체율이 갈수록 증가하자 위험도가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부실업체 밀어내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일부은행들은 특히 음식ㆍ숙박업이나 부동산 등 경기에 민감한 서비스 업종을 집중적인 관리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중소기업 대출의 월별 증가액이 지난 4월 1조800억원과 3,500억원에서 5월에는 7,500억원과 1,500억원으로 각각 30%와 57%나 줄었고 신한은행도 4월 5,340억원도 5월 5,900억원으로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중소기업에 이어 대기업 대출 역시 은행들이 SK글로벌 분식회계 사건 이후 리스크 관리를 크게 강화하면서 증가 폭이 크게 줄거나 감소하고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5월 말 대기업대출 잔액이 6조6,248억원으로 4월 말의 6조9,530억원보다 3,282억원이 줄었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