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택사 재래시장재개발 눈독/주상복합 규제완화로 물량 늘어

◎택지구득난 심화 주택부문 한계아파트 미분양적체로 주택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택업체들이 재래시장 재개발사업으로 몰릴 것으로 보인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건설교통부가 내년부터 도시계획상 일반주거지역에 위치한 재래시장도 주상복합빌딩으로 재개발을 허용키로 함에 따라 업체들이 시장재개발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S사의 한 관계자는 『주택부문의 경우 이미 택지구득난등으로 한계에 부딪쳐 사업성이 거의 없다』며 『따라서 각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높은 시장재개발 사업부문을 대폭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가 이같이 시장 재개발사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기존의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에 비해 수익성이 높고 사업물량도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재 준주거지역과 상업지역에만 주상복합빌딩 건립이 허용되지만 내년부터 일반주거지역의 재래시장에도 이를 확대할 경우 사업물량이 그만큼 늘어나게 된다. 서울시내 재래시장은 모두 5백여개소로 이 가운데 65개소가 복합유통상가나 주상복합빌딩등 현대식 상가로 전환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번 주상복합빌딩 건립규제 완화방침으로 앞으로 사업물량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 주택의 경우 표준건축비등으로 분양가격에 제한을 받지만 시장재개발의 경우와 상가부문의 경우 이같은 분양가 제한을 받지 않아 수익성이 훨씬 크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K사의 관계자는 『대부분 업체들이 이미 주상복합빌딩 건립등으로 노하우가 축적된 상태여서 기존의 재개발·재건축팀을 중심으로 시장재개발 사업에 활발하게 뛰어들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시장재개발사업에 참여할 경우 업체간 과열경쟁으로 인한 무리한 수주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조합원수가 적고 토지활용도가 높은 일부 재래시장에는 과거 주택재건축·재개발 사업의 경우처럼 업체간에 무리한 수주전이 펼쳐질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정두환>

관련기사



정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