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박영순의 눈이야기] 시력교정술의 발달

최근엔 안구 자체 '리모델링'까지

요즘 눈 나쁜 사람들이 불편 없이 많이 끼고 다니는 안경은 언제부터 끼기 시작했을까.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최초의 안경은 1590년대 통신부사로 일본에 다녀왔던 김성일의 안경이다. 안경테는 거북이 껍질로 만들었고 정밀한 경첩을 달아서 폈다 접었다 할 수 있고 귀에 고정하는 끈을 매달아서 사용했다. 세계적으로는 13세기 말부터 안경을 끼기 시작했다고 하니 대략 몽골의 징기스칸 무렵이다. 안경을 끼는 사람들이 IQ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괴테 슈베르트 모네 세잔 르느와르가 근시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콘택트렌즈 또한 초기에는 유리로 된 재질로 눈의 흰자위까지 전체를 덮는 렌즈로서 무겁기도 했지만 각막에 대사장애를 일으켜 장시간 착용할 때는 문제가 많았다. 요즘 끼는 렌즈같이 검은자만 덮어주는 콘택트렌즈는 1947년에 등장했다. 지금은 콘택트렌즈도 너무나 발전해서 소독할 필요도 없고 단백질을 제거할 필요도 없이 하루만 끼고 버리는 ‘daily lens’까지 등장했다. 이처럼 시력이 나쁜 경우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은 예로부터 끝없이 발달하여 최근에는 안구자체를 리모델링해서 시력을 교정하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굴절 기관인 각막을 초정밀하게 깎아내는 레이저 시력교정술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안과의사인 필자도 현대 의학발전의 수혜자가 되었다. 이미 라식 수술은 FDA에서 공인 받은 안전한 수술로서 조건만 좋으면 수술시간이 짧고 회복기간이 빨라 신기하리만큼 쉽게 시력을 교정해주는 수술로 자리잡았다. 물론 각막의 조건에 따른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부작용 가능성이 있는 눈은 가급적 신중한 결정을 해야 한다는 점은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또 최근에는 각막이 얇거나 고도 근시거나 고도 난시여서 각막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 눈 속에 렌즈를 넣어주는 수술로 시력을 교정하기까지 이르게 되었다. 쉽게 말해 안경을 눈 속에 집어넣는 것과 같은 이론인데 조그만 눈 속에 삽입하는 렌즈인 만큼 정밀하고 안전해야 하며 눈 속에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그럼 도대체 눈 속 어디에 렌즈를 삽입할 공간이 있는가. 이는 매우 전문적이고 해부학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문제인데 보통 홍채 앞쪽에 넣는 렌즈, 홍채 자체에 거는 렌즈, 수정체 앞쪽에 넣은 렌즈로 분류하게 된다. 각각의 장단점을 고려하고 환자의 상태를 고려해서 수술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최근 이런 꿈같은 수술들의 성공률이 높아지는 것을 보면 인간의 욕구와 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발전에는 한계가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과거에는 거북의 등껍질로 만든 우스꽝스러운 안경과 수정을 갈아서 만든 안경알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이제는 레이저 한번으로 시력을 좋게 하고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렌즈를 눈에 넣기까지 인간이 발전시킨 시력교정의 노력에 의사로서 인간에 대한 경외심을 느낀다. 윤호병원안과원장ㆍ의학박사 www.pluslasik.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