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재건축, 강남보다 수도권이 더 내렸다

8.31대책 이후 서울 강남권 재건축보다 수도권의 재건축 아파트 값이 더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값은 8.31대책 직후 큰 폭으로 떨어졌지만 최근 들어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가격을 조금씩 회복한 반면, 수도권은 하락세가 지속됐기 때문인것으로 분석된다. 6일 한국부동산정보협회 자료에 따르면 8.31 대책 직후인 9월 5일부터 이달 4일까지 수도권 재건축 아파트값은 3.18% 떨어져 강남권(-3.12%) 보다 낙폭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9월 한달간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는 3.71% 하락한 반면 10월에는 0.49%의 상승세로 반전됐다. 이에 비해 수도권은 9월 -1.02%의 변동률로 강남보다 하락폭이크지 않았지만 10월 -1.38%의 변동률로 하락세에 가속도가 붙은 것으로 조사됐다. 송파구 가락동 가락시영1차 17평형은 8.31 대책 이후 5억6천만원까지 떨어졌다최근 들어 다시 6억원대를 회복했고 한때 4억원까지 하락했던 강남구 개포동 주공4단지도 최근 4억8천만원선에도 거래된다. 가락시영 인근 S공인 관계자는 "일부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집주인들이 내놓았던매물의 가격을 수천만원씩 상향 조정해 호가 중심으로 가격이 다시 오르고 있다"고말했다. 이에 비해 수도권은 과천 주공6단지 18평형이 대책 전에는 6억원 이상 호가했지만 현재 5억원 밑으로 떨어졌고 광명시 철산동 주공3단지는 전 평형이 최근 1주일동안에만 500만-1천만원 가량이 떨어져 13평형은 2억원에도 급매물이 나온다. 철산동 K공인 관계자는 "집주인 중에 외지에 거주하는 다주택자들이 가격을 크게 낮춰 매물을 내놓지만 매수자가 없어 앞으로도 계속 값이 내릴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주간 가격 변동 추이를 살펴봐도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값 변동률은 10월마지막주 0.14%에서 11월 첫째주 0.90%로 뛴 반면 경기도는 과천과 광명 등의 가격 하락세가 이어져 같은 기간 -0.23%에서 -0.25%로 하락폭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정보협회 박준형 팀장은 "최근 들어 강남권 아파트 값이 많이 떨어지자 이 지역의 진입을 노리는 실수요자가 매수에 나서 내림세가 주춤해졌지만 투자매력이 크게 떨어진 수도권은 매수세가 거의 없어 하락세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