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발생

광주광역시의 한 씨오리농장에서 방역조치를 소홀히 할 경우 고병원성으로 전환될 수도 있는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농림부는 22일 전국 오리농장을 대상으로 일제 검사를 벌이던 중 지난 1일 광주광역시 소재 A씨 오리농장에서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로 의심되는 H5N2형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최초로 발견됐다고 밝혔다. 농림부 관계자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현재까지 검사한 결과로는 발생농장의 오리가 죽거나 산란율이 떨어지는 증상 등이 없어 일단 저병원성으로 판단된다”며 “최종 결과는 23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H5N2형 바이러스는 135개에 달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중 하나로 폐사율(75%이상)에 따라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분류된다. 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는 국내에서 지난 96년 이후 매년 10여 차례씩 발생하는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H9N2)와 지난해 12월 국내에서 첫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H5N1)와는 형태가 다른 것이다. 하지만 조류 인플루엔자중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H5’ 또는 ‘H7’형에서 나오는데다 H5N2형 바이러스가 멕시코(94년)와 이탈리아(97년) 등에서 고병원성으로 전환한 사례가 있어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해당 농장의 오리 전체를 살처분, 매몰하고 인근 농가의 닭ㆍ오리 이동을 제한하는 등 긴급 방역작업에 들어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