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북극해를 덮고 있던 얼음이 녹으면서 러시아ㆍ캐나다ㆍ노르웨이등 북극권 국가들 사이에 영토분쟁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각국의 이기적인 행위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1일 북극에 대한 주변 국가들의 영토야심이 커지고 있다면서 “원자재를 위한 싸움은 깃발이 아니라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결판이 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래덤앤파킨스 법률회사의 로버트 콜테라 대표는 “지금은 깃발을 꽂는다고 해결될 수 있는 (18~19세기 같은) 탐험의 시대가 아니다”며 “국제전문기구를 통한 보다 면밀한 법률ㆍ과학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북극해를 둘러싼 분쟁이 가열되면서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개발로 북극해의 얼음 녹는 속도가 빨라질 경우 전지구적인 재앙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는 최근 북극해에 ‘아카데믹 표도로프’라는 이름의 탐사용 잠수함을 파견, 수심 4,000m 이하까지 탐사하고 북극점 아래 심해에 러시아 국기를 꽂는데 성공했다. 로모노소프 해령(해저산맥)지대에 주면의 토양과 물도 채취했다. 러시아의 이번 탐사는 로모노소프 해령이 시베리아 대륙과 대륙붕으로 연결돼 있다는 것을 증명해 영토를 북극해까지 연장하기 위함이다. 1982년 제정된 유엔 해양법은 북극해에 대한 개별 국가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대신 북극해와 인접한 러시아ㆍ미국ㆍ캐나다ㆍ노르웨이ㆍ덴마크 등 5개국의 200해리(370㎞) 경제수역만을 인정한다. 러시아는 2001년 유엔에 로모노스프 해령에 대한 영유권을 허용해 달라는 요청서를 냈으나 유엔은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라며 기각했다. 유엔이 요구한 근거 마련이 이번 탐사의 주요 목적이다. 북극해에 눈독을 들이는 것은 러시아 뿐만이 아니다. 캐나다는 지난달 70억달러를 들여 북극해에 무장 순시선을 증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다음날 미국 해군은 상선들을 보호하기 위해 함대를 증강 배치할 것이라며 맞불을 놓았다. 각국이 북극해 싸움에 뛰어든 것은, 지구온난화로 얼음이 녹으면서 해빙 밑 바닷속 탐사ㆍ개발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기 때문. 북극 바다 밑에는 지구상에 남은 석유와 천연가스의 25% 정도가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얼음이 녹아 물길이 트이면 미국 동부와 유럽, 아시아를 잇는 항로가 가능해진다. 이는 기존 파나마운하를 통과하는 노선보다 4,000㎞ 이상 크게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