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후대비 유동자산 "3억 넘어야"

서울경제·KDI ‘고령화사회 대응’ 설문직장인 10명중 7명은 은퇴후 노후를 편안히 보내기 위해 월평균 생활비로 150만원 이상을 예상하고 있으며, 예금을 포함한 유동자산이 3억원 이상 은 돼야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또 10명중 8명은 은퇴후 자식들에게 기댈 생각이 없으며, 10명중 6명은 자신이 쓰고 남은 재산만 상속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10명중 2명은 우리보다 소득수준이 낮은 베트남 등 해외로 이민을 가 노후를 정리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 - - 이 같은 사실은 서울경제신문이 `고령화쇼크,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장기기획을 마무리하면서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공동으로 서울지역에 근무하는 직장인과 공무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후생활 및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응` 설문조사 결과 나타났다. 조사 결과 10명중 4명꼴로 경제적 여유가 있다면 가족들과 떨어져 실버타운에 입주할 의사가 있으며, 노후생활을 위한 유동자산에 대해서는 3억원 이상~5억원 이하가 43.3%, 5억원 이상 42.7%로 절대다수가 3억원 이상을 꼽았다. 은퇴후 한달 생활비에 대해서는 150만~200만원이 39.0%로 가장 많았으며, 200만원이상이라는 대답도 36%에 달했다. 이 때문에 현재 붓고 있는 국민연금이 은퇴후 도움이 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조금 도움이 될 것이다`(51.7%)와 `별로 안 될 것이다`(43.7%) 등으로 절대다수가 국민연금에 기대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에 대비한 재산증식수단은 은행 등 금융기관의 정기성 저축(51.4%), 부동산 투자(22.3%), 주식투자(6.8%) 등의 순으로 나타나 여전히 안정적인 투자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퇴직 후에는 퇴직금으로 개인사업을 할 것이란 대답이 38%로 가장 많아 현직 때보다는 퇴직후의 적극적인 삶을 구상하고 있는 직장인들이 많았다. 이와 관련해 응답자의 70%는 정년퇴직후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본 경험이 있으며 40대부터 퇴직에 대비하고 있다는 대답도 41.0%에 달해 조기퇴직바람의 여파를 실감케 했다. 한편 직장인들의 절반 이상은 안정적인 노후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정년이 연장되어야 하며 기업들이 인력을 채용할 때 연령차별을 못하도록 법적인 보장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