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정부 "탈레반과 직접접촉" 왜

"사태 워낙 절박…" 특사파견 효력도 사실상 무위…靑 "군사작전 반대" 재확인

피랍 14일째에 접어들면서 정부의 대응 방식이 바뀌고 있다. 그동안 탈레반과의 직접 접촉은 없다는 것에서 벗어나 “직ㆍ간접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접촉의 폭을 확대해가고 있다”며 직접 접촉을 처음 인정했다. 사태가 절박하게 흘러가고 있고 협상의 열쇠를 쥐고 있는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포로 석방 문제에 대해 요지부동인 점을 감안, 우리 정부가 탈레반 측과의 직접 협상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포로 석방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를 넓혀가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 정부의 협상전략이 ‘직접 협상-국제 사회 지원 요청’ 등 양면전략으로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 ◇왜 직접 협상인가=탈레반과의 직접 협상은 없다는 우리 정부의 기조는 인질이 추가로 피살되서 ‘한계’에 봉착했다. 아프간 정부는 포로 석방 문제에 전혀 움직이지 않고 그런 동안 탈레반은 새로운 협상시간을 내세우면서 벼랑 끝 전략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인질의 추가 살해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정부 당국자는 고백했다. 정부로서는 원칙을 버리고서라도 탈레반과 직접 접촉을 통해 이들과 소통할 통로를 만들어야 하고 이를 통해 포로 석방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나올 때까지 추가 인질 살해를 막을 수 있는 방책이 필요했던 셈이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도 1일 정례 브리핑에서 “접촉의 폭을 확대해가고 있으며 시한을 벌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성주 아프간 주재 한국대사가 처음으로 탈레반 측과 전화통화를 했다는 소식은 협상전략 변화의 첫 신호로 보인다. ◇미궁에 빠지는 포로 석방=아프간에 대통령 특사로 파견된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은 결국 ‘빈손’으로 귀국하게 됐다. 천 대변인은 “백 특사가 1~2명의 아프간 고위 관리들과 만난 이후 파키스탄으로 떠날 계획”이라면서 “2일 중 한국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기대됐던 하미드 카르자이 아프간 대통령과의 추가 면담도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 특사로서는 결국 이번 일정의 최대 목표였던 포로 석방 문제에 대해 해답을 찾지 못한 채 한국으로 돌아오게 된 셈이다. 탈레반에 영향력이 큰 파키스탄 정부 인사들과 만나 협조를 당부한다고 하지만 뾰족한 대책이 나올지는 미지수다. 포로 석방 문제가 한치의 진전도 없이 미궁에 빠져들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가 기대하고 있는 것은 오는 5일로 예정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카르자이 대통령의 면담이다. 그러나 미 국무부는 인질 추가 피살 이후에도 “테러리스트들에게 양보하지 않는다는 미국의 오랜 정책은 변함이 없다”며 포로ㆍ인질 맞교환 문제에 쐐기를 박았다. 하미드자다 아프간 대통령 대변인도 “아프간 정부는 탈레반과 절대 거래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국제 사회에 포로 문제에 관한 ‘유연한 대응’을 요청한 우리 정부의 성명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셈이다. ◇군사 작전 현실화하나=천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도 인질을 구출하기 위한 군사작전에 반대한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하지만 우리 정부의 이런 입장이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인질들이 추가로 살해되고 특히 여성 인질들이 희생당할 경우 군사작전에 대한 여론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정부 입장에서도 불가 입장만을 고집할 수 없게 된다. 해결책 없이 흘러가는 시한에 우리 정부는 점점 외통수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처지로 몰리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