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출확대 최대기여국은 중국

수교후 연평균 23.8% 증가중국이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수출확대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됐다. 22일 한국무역협회 산하 무역연구소는 '한중 무역구조 변화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지난 92년 수교 이후 지난해까지 대중국 수출은 연평균 23.8%의 성장세를 기록, 한국의 총수출 증가에 대한 기여도가 21%로 주요 수출국가 중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중국에 이어 미국(17.8%), 유럽연합(13.3%), 동남아(10.1%), 일본(6.7%)이 뒤를 이었다. 중국에 대한 수출은 품목별로 무선통신기기(71.3%), 반도체(67.6%), 컴퓨터(54.2%), 정밀기기(50.2%) 등 전기ㆍ전자 분야가 연평균 5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여 대중국 수출 확대의 '첨병'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죽제품(18.9%), 가전제품(18.9%), 종이(18.2%), 화학섬유(13.6%), 철강제품(6.3%) 등은 중국상품의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평균치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나타냈다. 중국과의 무역구조는 자본재 중심으로 점차 고도화되는 경향을 보여 원자재 수출비중은 92년 81.5%에서 지난해 61.2%, 수입은 76.4%에서 40.2%로 낮아진 반면 자본재 수출 비중은 12.6%에서 28.0%, 수입은 3.8%에서 29.1%로 각각 높아졌다. 또 10대 상품 수출 비중이 92년 83.0%에서 지난해 74.7%로 축소되면서 미국ㆍ일본과 달리 수출상품이 다양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한국상품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98년 10.7%를 기점으로 점차 하락하고 있어 우리 상품의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양평섭 연구위원은 "한중간 무역은 수출상품 구조의 동질화로 경쟁이 격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수출과 생산 측면에서 새로운 협력 및 경쟁전략을 수립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강동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